[eBook] 구원의 날
정해연 지음 / 시공사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때 그러지 않았으면 어땠을까? 살면서 이런 생각 한 번쯤은 해봤을 거다. 후회가 깃들었을 수도 있고, 행복이 스며드는 돌이킴일 수도 있다. 행복한 기억이라면 미소와 함께 잔잔한 회상이 가능하다. 반면 후회가 바탕에 깔렸다면, 현재의 심리 상태는 진폭이 클 수밖에 없다. 단순한 궁금증과 같은 가벼운 호기심일 수도 있겠고, 어쩌면 자신의 인생을 뒤흔들어버린, 인생에서 지우고 싶은 순간에 대한 깊은 죄책감일 수도 있다. 물론 악의가 깔린 선택이었다면 비난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현실은 꼭 악의가 아니더라도 내가 한 어떤 선택이 최악의 상황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내 사정 또는 나와 관련된 누군가의 사정 때문에 어떤 상황을 외면했을 때, 각박한 현실에 쫓겨 자신도 모르게 내몰리듯 어떤 일을 행했을 때. 그 한순간의 선택이 삶 전체를 흔들어버릴 수도 있는 게 바로 우리가 사는 현실이다.

 

<구원의 날>은 여섯 살 아이를 잃어버린 부모의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유괴인지 실종인지도 모른 채 수사는 흐지부지되고 3년이 흘렀다. 부모의 삶이 파괴되었으리란 건 뻔하다. 자살 시도, 분노 조절 장애, 상대방에 대한 원망, 자책. 이야기는 이런 것들로 가득하다. 그러다 느닷없이아이의 행방에 대한 단서가 될 만한 상황이 벌어지면서 이야기의 흐름은 다른 방향을 탄다. 전형적인 스릴러물을 기대했다면 이 책은 그 기대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왜냐하면 이 책은 범인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지 않기 때문이다. 꺼풀을 하나하나 벗겨내며 진실에 다가가긴 하나 그 진실은 범인이 아닌 상처 입은 자들이 쥐고 있다. 평범하고 착한사람들이 삶을 살아가면서 할 수 있는 실수 또는 선택이 예기치 못한 상황과 맞물려서 어디까지 굴러갔는지. 바로 그 이야기를 조금씩 조금씩 풀어내는 것이다. 그러면서 작가는 회복의 실타래도 함께 그에 맞춰 풀어낸다. 상처 입은 사람들이 서로를 조금이라도 보듬어줄 수 있도록.

 

작가도 후기에 썼지만 기존 범죄물과 결이 다른 이야기다. 보통은 사건의 진실과 범인을 밝히는 게 이야기의 축이고 그것을 돋보이기 위한 장치로 각종 설정이 따라붙지만, <구원의 날>은 피해자들의 아픔과 상처, 그 회복을 중심으로 범죄 이야기가 곁들여졌다. 그래서 진실이 밝혀졌을 때 닥치는 속 시원한 쾌감보단, 상대방의 상처를 보듬기 위해 내미는 손길이 느껴졌을 때 밀려오는 잔잔한 감동이 우선이다. 그래서 하는 얘기지만, 굳이 이 소설의 단점을 꼽자면 이 글을 쓰면서 인용부호에 가둬두었던 두 개의 단어다. ‘느닷없이착한’. 범죄물과 어울리지 않지만, 회복을 위해선 꼭 필요한 요소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