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춤 겨레 전통 도감 5
조현 지음, 홍영우 그림 / 보리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야호~ 드디어 탈춤이 내 손에 들어왔다.  큰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에 보리 출판사를 알게 되었다.  개똥이네 놀이터를 읽으면서 모으기 시작한 보리의 도감들이 하나씩 둘씩 늘어나면서, 요즘 계속해서 지를까 말까를 고민하던 책이 탈춤이었다.  책을 받고 후회했다.  점 더 빨리 구입할걸..  작년에 큰아이 사회과목에서 배웠던 탈춤들이 나온다.  글로만 읽고 넘어가 버렸던 탈춤들이 한바탕 신명을 풀면서 내 앞에서 춤을 춘다.


 

'덩더덕 쿵덕' 나도 모르게 신명난 춤사위가 훨훨 나부뀌고 엉덩이가 풀쩍풀쩍 움직여진다.  이게 바로 보리 그림들의 장점이다.  아이가 아주 어렸을때, 보리의 세밀화가 첫 책이었던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아이도 나도 익숙하다.  땅과 겨레를 닮은 우리 탈 그리고 신명으로 풀어내는 우리 탈춤.  이책은 무형 문화재로 지정된 열 한가지 탈춤을, 오늘날 그 탈춤 보존회가 공연하고 있는 대본을 바탕으로 해서 그림과 이야기로 한 과장씩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너무 재미있다.  탈춤이 하나에 극이 되어서 이야기를 풀어준다.

 

서낭굿 탈놀이 - 하회별신굿탈놀이
오광대 - 가산 오광대 / 통영오광대 / 고성오광대
들놀음 - 수영야류 / 동래야류
산대놀이 - 양주별산대놀이 / 송파산대놀이
해서탈춤 - 봉산탈춤 / 강령탈춤
사자놀이 - 북청사자놀음


 

탈춤엔 탈이 나온다.  얼굴을 가리거나 꾸미려고 쓰는 물건이 탈이다. 그래서 탈은 거짓을 보여주는 나쁜것 같다.  겉과 속이 다르다는 말이니 말이다. 그런데 이 탈춤이 '탈을 쓰고, 탈 난 것을, 탈 잡아 노는 '이라는 뜻이란다.  탈을 쓴 채로 잘못된 것이나 좋지 않은 것들을 시원하게 꼬집으면서 응어리를 푸는것.

이게 우리네 탈춤이다.

 

서낭굿탈놀이는 농촌 마을에서 액이나 잡귀를 막고 농사가 잘되기를 서낭신한테 빌면서 함께 놀았던 탈춤이다.  이 탈 춤에는 이매탈이 나오는데, 고려 중기, 하회 마을에 살던 허 도령이 금줄을 치고 탈을 깎는데, 허도령을 사모해 오던 처녀가 금줄을 넘어 들어오는 바람에 허도령이 죽었단다. 그래서 허도령이 탈을 다 못만들어 턱부분이 없는 바보탈이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작년에 코엑스 아티움에서 TALL이라는 공연을 아이들과 봤는데, 이제 생각하니 이 내용이 모티브였다.  이렇게 이 책은 옛날 이야기처럼 하나 하나 재미난 이야기를 풀어주고 있다.  
오광대 놀이는 흔히 다섯 광대가 나오거나 다섯 마당으로 이루어진다. 강에 떠내려 온 궤 안에 탈 다섯 개와 탈놀이 도구가 들어 있어 놀이가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작년 우리 큰 아이 사회과목에 나왔던 오광대 놀이를 다시 보니 반갑다. 지역마다 내용과 탈을 만드는 방식은 다르지만, 오방신들의 내용이 재미있다.

들놀음은 낙동강 동쪽 지역인 부산지방 사람들이 정월 대보름에 세시 놀이로 즐기던 탈춤이다.  길놀이 춤놀이 탈놀이 뒤풀이로 이어지는 마을 축제의 한 부분으로 여러 대에 걸쳐 토박이들이 놀이를이끌어 왔단다.

산대놀이는 서울과 경기도 지방에서 놀던 탈춤이다.  서울의 애오개 녹번 구파발에서 놀던 것을 본산대놀이라 하고 그것을 본떠 다른 곳에서 만들어 놀던 것을 별산대놀이라고 한다. 지금은 양주와 송파의 산대놀이만 전해진다.

해서탈춤은 강령 봉산 해주 같은 황해도 지방의 여러 고을에서 단옷날 놀던 탈춤이다.  큰 장이 서는 곳에서 구경꾼을 모아 놓고 했는데 나쁜 기운을 쫒거나 복을 빌기보다는 다 함께 즐기는 놀이란다.

사자놀이는 함경남도 북청 지방에서 정월 대보름마다 놀던 탈춤이다. 우리나라에 살지 않는 사자를 내세우고 있는데, 동물의 왕인 사자가 한바탕 춤을 추면 나쁜 귀신과 재앙을 쫒고 마을을 지킬수 있다고 믿었단다.

 

한장 한장 넘길때마다 다음엔 무슨 이야기가 나올까 흥미롭다.  꼭 옛날 이야기 한편씩을 읽어내리는 그런 기분이 들었다. 내가 살고 있는 곳은 송파다.  그래서 송파산대놀이가 꽤나 관심이 갔다.   탈들도 어찌나 많은지 33개나 전해진다고 한다.  어렸을 적, 이곳에 물난리가 종종 있었는데, 책을 읽다보니 산대놀이를 하면 물난리 난다고 못하게 했다고 한다. 그래서 여직 못 봤나?  아이들과 함께 송파산대놀이를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봐야겠다.  책을 읽는 내내 환상여행이라도 떠나온 것 처럼 행복했다.  우리의 역사와 우리의 삶이 탈춤 속에 숨겨있다. 언제가 읽었던 우리춤이야기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