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속인 위대한 거짓말 - 역사에 없는 역사, 그 치명적 진실
윌리엄 위어 지음, 임용한.강영주 옮김 / 타임북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역사 이야기를 좋아한다.

고등학교 역사시간에 선생님이 들려주시던 이야기와, 궁금함으로 도서관을 찾아 헤멜때부터 세계역사든, 우리 역사든

역사 이야기가 참 좋았다.

옛날 이야기 같은데,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야기가 쓸쩍쓸쩍 묻어나오는 이야기들.

 

<역사를 속인 위대한 거짓말>이라는 말에 책을 손에 들었다.

내가 알고 있던 역사... 그속에 숨어있는 거짓말이 있다는 말이다.

그것도 위대한 거짓말이란다. 얼마나 감쪽같이 역사를 아니, 그 속에 함께 숨쉬고 있는 사람들을 속이면 위대한 거짓말이라는

말을 할 수 있을까?

궁금했다.  그리고 읽기 시작한 책.

 

표지 부터 예사스럽지 않다 이거 영... 네로, 람세스등이 보이는데, 모두 모두 피노키오다. 나무인형의 깎아놓은 듯한 코를 가진

인물들이 보인다. 누구신지? 물어보고 싶다.

어떻게 그렇게 코가 기신지요? 영 맞지 않는 코를 가지고 있는 인물들. 그럼에도 슬쩍 미소를 짓고 있는 인물들.

 

역사상의 사실은 순수한 형식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또 존재할 수도 없다.

즉 언제나 기록자의 마음을 통해서 굴절해 오는 것이다.   - Edward Hallett Carr

 

역사는 과장되었을수도 단순화되었을 수도 있다. 그래서 우리가 역사 드라마를 보면서 픽션과 논픽션을 적절히 섞여있는 것을 보면서

그게 사실인지 허구인지 알수 없는것처럼 말이다. 그냥 흐르듯 지나쳐 버릴수 있는 한문장으로 긴 드라마를 쓰는 작가들은 역사의

단순화를 파헤쳤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부분은 진실보다 더 크게 부풀려져 있는 거짓들이다.

작가 윌리엄 위어가 우리네 작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 역사 이야기가 작가가 이야기하듯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와있는 이야기들은 아니다.

그래서 생소하고 처음 이것이 거짓이었는지, 진실이었는지 알수 없는 부분들도 있었다.

 

하지만, 가장 많이 알고 있어 첫장을 장식한 네로 황제의 이야기부터 불굴의 땅, 아프카니스탄 이야기까지 재미있다.

사진과 여러 자료들로 진실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네로가 로마를 불바다로 만들고 바이올린을 켰을까?  그게 아니라는 진실은 꽤 오래전부터 회자되어지고 있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그건 이야기였고, 저자는 역사적 사실을 하나 하나 들이밀면서 왜 아닌지를 이야기해주고 있다.

바울이 2차 전도여행을 했을때, 로마의 황제가 네로였다고 한다. 그 당시 바이올린이 만들어졌을리는 만무하다.

그럼에도 네로황제의 괴소문이 몇세기가 지난 지금껏 이야기 되어지는 이유는 그만큼 그의 폭정이 심했다는 이야기 이다.

 

네로황제의 이야기와 함께 많이 알려진 이야기. 초호화 호텔은 아니었다 해도 시종을 두고 감옥생활을 할 수 있었다는

바스티유 감옥. 언제나 들어도 충격이다. 바스티유 감옥의 상황과 프랑스혁명의 심지를 당겼다고 여겼던 그 상황들속 감옥안에

갖쳐있던 사람들이 7명뿐이었다니.. 거기에  철가면을 쓴 장기 복역수까지.. 영화를 너무 많이 보고, 소설을 많이 읽어서 소설이

역사화 되어버린듯하다.

 

제시 제임스와, 와이어트 어프처럼 미서부 개척사의 나오는 인물들은 생소하다.

OK목장의 결투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영화를 본적이 없어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그와 함께 해리 라세터, 존 딜린저와 같은 인물들 또한 이책을 통해서 새롭게 알게 된 인물들이다.

이 새롭게 알게 된 인물들이 참 흥미롭다. 이러니, 이들을 주인공으로 영화를 만들 수 있었겠다는 생각이 든다.

 

<역사를 속인 위대한 거짓말>에서 지적 호기심을 강하게 끈 이야기는 <시온의정서>이다.

히틀러의 유대인 학살의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었다는 문서.

단지 그렇게만 알고 있던 문서를 하나하나 파헤쳐 주고 있다.

러시아 황제의 비밀경찰이 황제의 무능함으로부터 국민들의 관심을 돌리고 유대인을 학살하기 위해 만들어낸 거짓 문서.

시온의 장로들이 무덤속에서 사탄의 지시를 받고 나온다는 이야기.

어떻게 이런 말도 안되는 이야기로 인명을 죽으는것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을까?

분명 이 책이 거짓이라는 것을 러시아 황제는 알고 있었다.

하지만, 거짓 역사도 필요에 위해서는 진리가 될 수도 있나보다.

여전히 <시온의정서>가 몇몇 중동 국가들은 정규 교육 과정에서 가르치고 있다고 하니 말이다.

 

너무나 오랜세월 거짓이 거짓이 아닌것처럼 우리 역사의 일부분이 되었다.

갈릴레이가 '지동설'로 인해 종교제판을 받은후, '그래도 지구는 돈다'라는 말한것이 정설이 되어버린것 처럼 말이다.

이 책을 읽었다고 역사적 기록들을 바로 잡겠다는 허영은 부리지 않겠다.

하지만, 각 사건에 연루된 인물들과 그들의 동기, 그리고 그 거짓이 지금까지 우리에게 남겨지는 유산이 과연 무엇인지.

그것은 알아야 하지 않을까?

 

어쩜, 오늘도 우리는 거짓 역사속에서 헤험치고 있는지도 모른다.

아니, 그럴것이다.

알면서도 모른척 하고, 그래야 편하기 때문에 스치듯 지나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어떤것이 참인지 거짓인지는 알 수 없지만,

역사가 만들어 가는 거짓은 그 또한 역사의 일부분이다. 그리고 우리는 역사를 돌리는 바퀴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