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롱 윈 - 찰나의 영광을 넘어 오래 지속되는 승리로
캐스 비숍 지음, 정성재 옮김 / 클랩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롱 윈'은 승리에 대한 이야기이다. 우리가 살면서 '승리'를 경험해 보거나 반면에 그로 인해 실패를 겪었던 일들을 떠올린다면 우리에게 왜 승리가 그토록 중요한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인간에게 있어 승리가 찰나의 순간이 아니라 오래도록 지속될 수 있는 승리여야 한다면서, 인간중심에 대한 승리를 마지막에서 말하고 있다. 결국 수치로 측정되는 승리가 아니라 사람이 먼저인 오래가는 승리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책의 시작은 우리 시대의 승리가 그동안 어떻게 평가되어왔는지 보여준다. 승리라는 걸 떠올렸을 때, 많은 분야에서 '승리 = 성공'의 공식이 성립되는 곳이 많다. 정치, 교육, 스포츠 등 승리가 곧 성공이자, 수치로 따질 수 있는 것이 보여지는 곳이다. 이러한 승리는 인간의 원래 본성인가에 대해서도 돌아보게 한다. 생각해보면 우리는 인간은 원래 본성이 승리를 좋아해라고 여겼을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은 살아가려면 동물과 마찬가지로 '협력'이 필요하다. 협력보다 승리를 통해 얻고자 하는 이득이 더 커보일 수 있겠지만, 저자의 말처럼 아직은 희망이 있다.
승리라는 것은 누군가를 패배자로 만들게 된다. 정치에서도 그렇지만 스포츠의 경우는 승리, 그 이후의 삶이 경험하지 않으면 모를 어려움이란 생각이 들었다. 누군가가 승리했으니, 누군가는 분명 실패 또는 패배했다고 간주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공생과 같은 승리를 저자는 말한다. 요즘 같은 시기에 문맹이라는 것은 없지만 책 내용 중에서 21세기의 문맹은 배우려 하지 않는 것이다라는 저자의 말이 있었다. 예전에는 글을 모르는 것이 문맹이었겠지만 지금은 배우려 하지 않는 게 문맹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제대로 된 성공을 위한 3가지 중 꾸준한 배움은 하나의 요소이다. 그렇다면 나머지 2개는 무엇일까? 명확성과 연결이다. 처음부터 진정한 승리는 인간과 연결된 승리를 이야기한 저자의 말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 3가지가 어우러져야 진정한 승리라고 할 수 있단 것이다.
누군가는 분명 거머쥐고 싶은 것이 승리와 성공이라고 생각한다. 어쩌면 모두가 그럴 수 있다. 하지만 누군가를 패배시킨다거나 나 자신이 승리를 얻지 못한 고통 속에서 살아가는 것보다 진정한 승리를 깨닫는게 더 중요하다. 저자는 경쟁만 난무하는 지금의 시대에서 진짜 승리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세상이 변화해가는데 승리나 성공의 개념 역시 바뀌는 게 맞다는 의견에 공감한다. 승리, 성공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우리는 어떤 승리와 성공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한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