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는 법령이 선포된 데서 위안을 찾지 못했다. 어쩌면 케플러는 정책의 변화는 문화의 변화와 전혀 같지 않으며 다른 시간의 척도 위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미 알았을지도 모른다. - P98

《꿈》은 사람들을 눈 뜨게 하기 위한, 과학의 시에 바치는 그의 세레나데였다. - P109

케플러는 성별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운명의 차이는 천공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 땅 위 문화의 작용에 따른 성별 구조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 P120

어머니를 불학무식하게 만든 것은 어머니의 본성이 아니라 이 세계에서 결정한 사회적 위치였다. 이 세계가 지적인 깨달음과 자아실현의 기회를 하늘의 별만큼이나 불변의 자리에 고정시켜 놓았기 때문이었다. - P120

새로운 것을 발견할 때의 순수한 설렘, 미지의 것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암석에서 지식의 작은 조각을 직접 깎아낼 때 느껴지는 희열이었다. 이는 모든 참된 과학자를 이끄는 근본적인 동기이다. - P129

"별의 빛에 비하면 메달은 사소한 것이다." - P135

"이 세상에 정말로 중요한 것은 단 하나인데, 그것은 바로 선량함이다." - P135

마리아의 감춰진 지성은 몇 번이고 계속해서 사회가 드리운 어두운 그늘을 뚫고 솟아오른다. "삶에 별빛을 섞으십시오." 마리아는 훗날 여성천문학자들을 위한 첫 수업이 열린 배서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말한다. "그러면 하찮은 일에 마음이 괴롭지 않을 겁니다." - P137

스스로 만들어진 인간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 P139

지식의 범위를 넓히는 것이 교육을 받는 사람의 행복을 직접적으로 보장한다면 왜 이 물길을 우리 인간종의 여자 쪽으로 자유롭게 흐르게 놔두지 않는단 말인가? "좀더 사나운 성질의 성별"이 지금 누리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 P153

여자는 남자만큼 상상력을 활기차게 발휘할 수 없다는 말인가? 그렇지 않다면 여자의 정신이 깊고 무한하고 광활한 곳, 장엄한 고요 속에서 구르는 무수한 은빛 구체를 응시할 특권을 누리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 P153

윌리엄은 퀘이커교의 신앙 중에서 평등의 가치는 적극적으로 수용했지만 맹목적인 신앙을 거부했고, 그 외의 다른 퀘이커교 교리는 자신의 윤리적 감수성에 따라 선별적으로 받아들였다. - P154

나는 이제 막 별의 색을 구분하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벌써 새로운 즐거움을 발견하는 중이다. 베텔기우스성은 놀라울 정도로 붉은빛을 발하고 리겔성은 노란빛을 띤다. 별의 색을 관찰하는 일에는 보석 수집품을 감상하거나 가을꽃이 만발한 정원을 감상하는 것과 같은 종류의 즐거움이 있다. - P1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