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규모의 사회에서는 친사회적 행동이 종교에 의존할 필요는 없다. 가령 아프리카 최후의 수렵 채집 집단인 하드자Hadza족의 경우에는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이 없고 해와 달의 신들은 인간의 선행이나 악행에도 무관심하다. 하지만 그들은 사냥을 할 때나 일상생활을 영위할 때 여전히 협력적이다. 왜 그럴까? 하드자족처럼 집단의 크기가 작아서 서로를 뻔히 다 아는 사회에서는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초자연적 힘까지 동원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익명성이 없는 사회이므로 사기꾼은 발 디딜 틈이 없다. - P84
넷플릭스, 유튜브, 페이스북, 아마존과 같은 플랫폼 기업은 현재 CBF, CF, HF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다. 이 추천 알고리듬들의 공통점은 한마디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선호를 예측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문제는이 추천 시스템들은 사실상 사용자의 과거 행동과 성향을 - P96
‘넘어서는‘ 추천은 절대로 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과거에 기반한 추천이 아니라 과거에 ‘갇힌‘ 추천인 셈이다. 선택하면 할수록 내 과거와 내 성향에만 맞는 추천이 제시되기 때문이다. 기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자신의 경계를 넘어서는 도전적 추천은 존재하지 않는다. - P97
왜 사람들은 과거의 선택에 기반하여 미래를 선택하는 데에 편안함을 느낄까? 사람들은 왜 자기 자신과 비슷한 사람에게 친밀감을 더 느낄까? 왜 끼리끼리 공감할까? 이런 질문들에 대한 대답은 서로 다른 심리적 과정으로 설명해야 할 주제이긴 하지만 공통적으로는 ‘타자에게 영향을 받는 사회적 의사결정자‘로서의 인간 심리에 대한 이야기라고 요약할 수 있다. - P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