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 봉투 받는 애구나.‘
여자애라거나 남자애라거나, 귀엽다거나 못생겼다거나, 공부를 잘한다거나 못한다거나 이전에 권진주와 김니콜라이는서로를 그렇게 알아봤다. - P114

고등학교 졸업식 날 진주는 그녀를 찾아가 롤케이크를 내밀었고 감사 인사를 떠올리며 쭈뼛거렸다. 그녀는 진주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듯했고 덕담 몇 마디 끝에 이렇게 말했다.
"부모님 밖에서 기다리시겠다. 얼른가봐." - P117

실습이 끝나고 니콜라이가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으로 시작하는 근로계약서를 읽으며 ‘통상임금‘과 ‘기본급‘ ‘고정적 수당‘ 사이에서 혼란스러워할 때, 진주는 모니터에 얼굴을 붙이고 국가장학금 홈페이지를 살펴보고 있었다. ‘소득 평가액에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더한뒤・・・・・・ 기준중위소득 대비 비율에 따라......‘ 두 사람의 스무살은 낯선 단어들을 마주하면서 시작되었다. - P119

머슴질도 대감집에서 하라는 말은 설득력이 있었다. - P123

진주는 돈은 꽤 써버렸지만 그래도 만족스러운 식사였다고 느꼈다. 같은 동네에 지글지글 보글보글을 함께할 사람이 한 명쯤 있는 것도 괜찮은 일인 듯했다. - P124

라면 다섯 봉지와 계란 여섯 알, 조미김 한 팩과 인스턴트 건조 미역국을 주문하는 사람. 그것들을 다 합친 것보다 더 비싼 캐나다산 개 사료를 한 번에 다섯 봉지씩 주문하는 사람. 오만이천원짜리 스페인산 올리브유 아홉 병을 한 번에 사는 사람은 무엇을 요리해서 먹는지, 십삼만구천원짜리 이탈리아산 소가죽 벨트를 쏜살배송으로 주문하는 사람의 생활은 어떤지 궁금했다. 진주 자신도 즉석밥이나 생수 따위를 종종 주문했는데, 그 점에 비춰보면 그들도 단지 시간이 부족한 사람들일 거라고, 그래서 자기가 시급을 받고 시간을 팔 수 있는 거라고 생각했다. 그럼 그들은 아낀 시간으로 무엇을 할까. 마트에 와서 물건을 담는 귀찮은 과정을 생략하고 오직 그 물건들이 주는 행복의 알맹이만을 누리고 있을까. 아니면 그 물건들을 사기 위해 자기처럼 또다른 누군가에게 시간을 팔고 있을까. - P127

낙엽이 다 떨어지는 동안 진주와 니콜라이는 서로의 방에 몇 번 갔다.
다를 것도 없는 방이었다. 자취생들이 애용한다는 인터넷쇼핑몰에서 낮은 가격 순으로 검색해 고른 가구들. 다이소에서 산 생활용품들. 당장이라도 상자 두어 개에 쑤셔넣을 수 있으며 일부는 실제로 상자에 담긴 채 방치된 것들. 집이라기보다는 이사와 이사 사이에 잠시 머무르는 방. 난데없는 에펠탑 엽서라거나 포켓몬 봉제 인형, 배드민턴 채 세트 같은 것들만이 호기심을 자극했다. - P131

잠들지도 않고 이야기하지도 않고 그저 누운 채로 숨을 쉬다보면 방안으로 노을이 스며들었다. 아이들의 재잘거림도 사라진 뒤 조용히 일렁거리는 커튼을 보고 있으면 세상이 남 얘기 같았다. 예쁘고 멋있고 촉감 좋은 물건들이 꼭 필요한 건 아니라고 마음을 다스릴 수 있었다. 자아실현 같은 건 모르겠지만 견딜 만한 일을 하고, 지글지글 보글보글 맛있는 음식을 나누어 먹는 삶. 가끔은 나란히 누워서 햇볕을 쬘 사람이 있는 삶. 이 정도면 괜찮다고 여기면서도 어두운 골목을 걸어 다시 각자의 방으로 돌아가면 불안해졌다. 어느 날 흰 봉투가 날아와 계약 종료 통지서나 처음 들어보는 병명의 진단서를 덜컥 내놓는다면, 그때는 어떻게 되는 걸까. - P133

때로는 시시하고 때로는 끔찍했으며 결국에는 죄다 망해버린 연애들이 있었다. 초라하게 사라진 나라들조차 폐허 어딘가에는 영광을 남기는 것처럼 그 연애들에도 부정할 수 없는 순간은 있었다. 연애가 망하더라도 사랑은 망할 수 없는 것일지도 몰랐다. 하지만 이제는 저렴한 각본으로 사랑하느니 다른 이름을 붙이고 싶었다. 어차피 첫 단추부터 이상했으니까. 차라리 이것은...... 딩동. 음식 도착을 알리는 초인종이 울렸다. 두 사람이 잠정적으로 내린 결론은 이러했다.
"우리는 친한 사이야.‘ - P142

미래는 여전히 닫힌 봉투 안에 있었고 몇몇 퇴근길에는 사는 게 형벌 같았다. 미미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주워 담았고 그게 도움이 안 될 때는 불확실하지만 원대한 행복을 상상했다. 보일러를 아껴 트는 겨울. 설거지를 하고 식탁을 닦는 서로의 등을 보면 봄날의 교무실이 떠올랐다. 어떤 예언은 엉뚱한 형태로 전해지고 아주 긴 시간이 지나서야 실현되는 것일지도 몰랐다. - P1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