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에 들어간 춘희는 죽을 때까지 단 한 번도 세상에 나오지 않았다. 그녀에게 있어서 세상은 이해할 수 없는 무질서와 부조리로 가득찬 낯선 세계였으며 끔찍한 증오와 광포함이 넘치는 야만의 세계였다. 사람이 과연 세상으로부터 완전하게 고립되어 산다는 게 가능한 걸까? 춘희는 자신의 남은 생을 통해 그 한 예를 보여주었다. - P357

처음에 춘희는 벽돌이 찍혀나오는 것이 신기해 놀이 삼아 끼어들었지만 어린 마음에도 점차 그 행위에 놀이 이상의 의미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文은 언제나 말하곤 했다.
춘희야, 둥글다고 다 시루가 아니듯 네모나다고 해서 다 벽돌은 아니란다. - P359

진흙을 다시 만지는 순간, 춘희는 처음 그것을 만졌을 때 느꼈던 운명적인 일체감을 단숨에 회복했다. - P361

그녀에게 벽돌은 떠나간 사람들을 향한 비밀스런 신호이자 잃어버린 과거를 불러오는 영험한 주술이었던 것이다. - P362

춘희는 이전보다 더욱 열심히 벽돌을 만들었다. 벽돌을 만드는 중에 그녀는 문득문득 공장으로 들어오는 진입로 쪽을 쳐다보았다. 그리고 언제부턴가 그녀는 자신이 기다리는 것이 공장을 떠나간 일꾼들이 아니라 바로 그 트럭 운전사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 동안 세상에 대해 굳게 문을 걸어잠갔던 춘희로서는 스스로 이해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것은 쌍둥이자매나 文을 그리워하는 것과는 사뭇 다른 감정이었다. 굳게 닫아걸었던 문에 일단 틈이 벌어지자 거대한 파도처럼 걷잡을 수 없는 감정이 밀려들었다. - P379

아이를 내려다보던 그녀에게 문득 해일처럼 거대한 슬픔이 밀려왔다. 그것은 한꺼번에 목울대를 밀고 터져나왔다. 춘희는 울었다.
절망적으로 슬프게, 숨이 막힐 만큼 필사적으로 울었다. 태양은 점점 더 높이 솟아올랐다. 하얀 눈밭에 춘희는 하나의 점으로 남아 울었다. - P391

그간의 기나긴 외로움과 고통을 모두 담아내 울었다. 온몸을 떨며 격렬하게 울었다. 가슴이 터질 만큼 우렁차게, 목이 찢어질 만큼 처절하게...... 울었다. - P392

자연스럽되 거칠지 않고 아름답되 요란스럽지 않으며 실용적이되천박하지 않고 조화롭되 인공적이지 않은 건물을 짓는 것이 바로 그의 건축학의 모토였다. 그것은 매우 엄격한 통제력과 뛰어난 예술적 영감이 필요한 일이었다. - P3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