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것은 내 눈으로 본 것은 아니다. 그러나 결국 기억하게 되는 것은, 실제로 본 것과 언제나 똑같지는 않은 법이다. - P12

우리는 시간 속에 산다. 시간은 우리를 붙들어, 우리에게 형태를 부여한다. 그러나 시간을 정말로 잘 안다고 느꼈던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지금 나는 시간이 구부러지고 접힌다거나, 평행우주 같은 다른 형태로 어딘가에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이론적인 얘길 하는 게 아니다. 그럴 리가, 나는 일상적인, 매일매일의, 우리가 탁상시계와 손목시계를 보며 째깍째깍 찰칵찰칵 규칙적으로 흘러감을 확인하는 시간을 말하는 것이다. 이 세상에 초침만큼 이치를 벗어나지 않는 게 또 있을까. - P12

에이드리언은 원칙이 행동을 이끌어야 한다는 관념에 근거해 우리에게 사유를 인생에 적용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도록 촉구했다. - P22

그들은 사춘기의 우정이 갖는 막역한 속성과, 기차에서 마주치는 이방인들의 야수적인 행태와, 싹수가 노란 여자의 유혹에 대해 우리 대신 겁을 먹었다. 그들의 그 노심초사는 우리의 경험을 얼마나 까마득하게 앞서 있었던가. - P24

병적인 불신은 사춘기의 자연스러운 부산물이며, 성장하면서 벗어던져야 할 것으로 믿는다는 듯이. 선생들이나 부모들은 자기들에게도 어린 시절이란 게 존재했음을 짜증이 날 정도로 들먹이면서, 그러니까 내 말을 들으란 식이었다. 그것도 다 한때야, 라고 그들은 우기곤 했다. 언젠가는 그런 데서 벗어나게 될 거야. 현실이 뭔지, 현실성이 뭔지, 인생으로부터 깨우치게 될 테니까. 그러나 그때 우리는 소싯적의 한 순간이라도 그들에게 우리 같은 때가 있었음을 인정하려 하지 않았고, 투항해버린 연장자들보다는 우리가 삶-그리고 진실과 도덕과 예술-을 더 확실하게 포착했다고 믿었다. - P25

"카뮈는 자살이 단 하나의 진실한 철학적 문제라고 했어."
"윤리학과 정치학과 미학과 실재의 본질과 그 밖의 다른 모든 걸 빼면 말이지." 앨릭스의 재기어린 반격엔 뼈가 있었다.
‘단 하나의 진실한 문제. 다른 모든 게 걸린 근본적인 문제인거지." - P29

인생엔 문학 같은 결말은 없다는 것, 우리는 그것 또한 두려워했다. - P30

진정한 문학은 주인공들의 행위와 사유를 통해 심리적이고, 정서적이고, 사회적인 진실을 드러내야 했다. 소설은 등장인물이 시간을 거쳐 형성되어가는 것이니까. 어쨌거나 필 딕슨 선생이 우리에게 해준 말에 따르면 그랬다. 그리고 이제까지 소설과 무관하면서도 그에 준하는 삶을 산 사람은 -롭슨을 제외하면-에이드리언이 유일했다. - P31

"역사는 부정확한 기억이 불충분한 문서와 만나는 지점에서 빚어지는 확신‘입니다." - P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