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는 여전히 집을 떠나기를 거부하고 있었고, 나는 주위를 폐허로 만들고 있는 그 장소에 대한 어머니의 애정을 이해하려고 몸부림쳤다. 나는 그 집에 관한 에세이를 쓰면서 집을 떠나지 않고 그곳에 머무르려는 어머니의 뿌리 깊은 이유들을 알아차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왜 그 이유들 앞에서 내 논거들이 전혀 먹히지 않는지도 마찬가지로 알아차렸다. 그 집에 대한 어머니의 사랑을 헤아리려 노력하던 나 역시 어느 새 그 집에 대한 내 사랑을 떠올리게 되었다. 그건 하나의 이해였고, 그 이해는 곧 어머니에게 주는 나의 선물이었다. - P250

죽음을 향해 가는 삶에 대해 두려워할 건 아무것도 없다. - P255

애벌레가 약간 움직이고, 마침내 나는 깨닫는다. 이것은 죽음이 아니라 웃자란 피부를 찢고 더 이상 필요 없는 것으로부터 기어서 달아나는, 삶의 다음 단계에 도달하기 전의 휴지 상태일 뿐임을. 그것은 새로운 생물이다. 심지어 그것은 다시 시작하기 전에 다시 시작한다. - P259

우리 인간은 기쁨을 위해 만들어진 생물이다. 우리는 모든 증거에 맞서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한다. 비통함과 외로움과 절망은 비극일 뿐이라고. 그리고 그 비극적인 것들은 세상의 바른 길들이 제공하는 지면, 다시 말해 우리 존재가 굳건히 디딜 단단한 지면을 만들어 내는 즐거움과 침착함과 안전함의 불운한 변이에 불과하다고. 우리는 동화 속에서 우리 자신에게 말하고 있고, 어둠은 선물 비슷한 것은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다. - P261

우리가 늘 느끼는 것에는 그 자체의 진실이 담겨 있다. 하지만 그것이 유일한 진실은 아니다. 어둠은 늘 보이지 않는 곳에 약간의 선량함을 숨기고 있다. 예기치 않던 빛이 반짝이기를, 그리하여 가장 깊은 은닉처에서 그것을 드러내기를 기다리면서. - P262

손윗사람들을 보살피는 건 유아를 키우는 것과 같다. 모든 생각과 행동의 배경을 살펴야 하고, 일어날수 있는 문제를 살피고 조정해야 한다. 그러나 최악의 문제, 돌이킬 수 없는 문제가 닥쳐오면 멈출 방법이 없다. - P265

돌봄의 결말은 자유가 아니라는 것, 돌봄의 결말은 큰 슬픔이라는 것. - P267

이윽고 나의 아름다운 시어머니도 세상을 등지셨다. 나는 매일 시어머니를, 그리고 내 부모님을 생각한다. 그분들의 뚜렷한 특성-내 아버지의 흔들리지 않는 낙천주의, 내어머니의 불손한 위트, 시어머니의 심오한 관대함-은 나와 세상 사이에 얇은 막을 형성해 주었는데, 이제 그분들 자신이 손에 만져질 듯 존재하는 부재가 되었다. 그분들이 저세상으로 떠남으로써 나는 모든 것을 다르게 보게 되었다. - P2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