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경받는 경영자의 기준은 소유한 부의 규모가 아니라, 인간과 세상과 시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이다. 인문학적 성찰이 없이는 성공도 제한적이고, 행복도 불안정하다. 인문학적 성찰이 결여된 성공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 지위와 돈과 명예가 주는 행복은 일시적이고, 가변적이며, 표피적이기 때문이다. 인간과 세상과 시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가진 경영자의 행복과 사뭇 비교할 바가 못 된다. 인문학적 성찰을 거친 ‘따뜻한 프로페셔널‘이 사람과 세상과 시대를 바꾼다. - P109

전대미문의 혁신을 추구하는 창조 경영의 시대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플라톤적 사고다. 생각의 영역을 잘게 쪼개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하고 뒤섞는 것, 이성의 시대가 가고 감성의 시대가 왔다는 시대정신에 대한 통찰, 합리적 분석보다 체험적인 영감을 추구하는 창조 경영의 시대에는 플라톤적 사고가 제격이다. - P119

역사학자 부르크하르트는 역사란 닥쳐올 미래를 기민하게 대처할 능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영원히 지혜롭게 사는 방식을 가르친다고 말했다. - P121

"내게는 아버지가 두 분 있었다. 한 분은 나를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하신 의사였고, 또 다른 한 분은 내게 새로운 생명을 주신 코시모 데 메디치(Medici)이시다. 나는 플라톤에게 큰 빚을 졌지만 코시모 데 메디치에게 진 빚도 그에 못지않다. 내가 탁월함(Virtus)의 의미를 플라톤을 통해 개념적으로 배웠다면, 코시모를 통해서는 그의 삶 자체에서 배웠다." - P123

진정한 리더는 내면의 세계를 성찰할 때 탄생하고, 자신이 리더가됨으로써 초래되는 개인적 희생을 냉정한 균형감각(trade-off)으로 대할 때 성장할 수 있다. - P125

한 사람을 영원히 속일 수 있고, 많은 사람을 잠시 속일 수는 있지만, 모든 사람을 영원히 속일 수는 없다. 따라서 리더는 무엇보다 자기 자신에게 솔직해야 한다. - P126

"용서할 줄 아는 사람만이 정복할 줄 안다." - P1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