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시대의 탁월함을 추구하던 메디치 가문의 리더들은 동질적인 것에 희망이 없다는 것을 확신했다. 오히려 그들은 다른 것, 생소한 것, 이질적인 것에 희망을 두었다. - P83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개별자는 이데아와의 완벽한 합일을 위해 존재한다. 개별적인 존재(현상)와 보편적인 이상(초월)이 부딪치게 하는 것, 바로 이것이 바로 코시모 데 메디치가 막대한 비용을 부담하면서 이룩하고자 했던 ‘생각의 빅뱅‘이었다. - P83

이질적인 것, 상이한 것에 희망이 존재한다. 서방과 동방이 만나고,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이 만나고, 현상과 초월이 만났을 때, 코시모가 이끌던 피렌체와 이탈리아, 그리고 유럽이 새로운 시대를 맞게 되었다. - P84

세상과 단절된 채 폐쇄적인 성격이 강화되면서 메디치 가문의 사람들은 점점 더 작아져갔다. 르네상스의 창조정신을 견인하던 긍정적인 세계전망이 사라지고, 사적인 향락추구가 일상사가 되었을 때 피렌체의 위대했던 가문도 쇠퇴의 길을 걷게 된 것이다. - P92

가문의 이름보다 중요한 것은 가문의 정신이다. - P96

"사업상 볼 일이 있는 것처럼 하면서 공연히 시뇨리아 궁 주위를 어슬렁거리지 마라. 시뇨리아 궁에서 소환장이 왔을 때만 그곳에 가고, 소환된 사무실만 방문하고, 다른 곳은 절대로 출입하지 마라. 다른 사람들이 널 주목하게 만들지 말고, 사람들의 시선에서 벗어나라. 만약 사람들 앞에 서야 한다면 꼭 필요한 곳에만 너의 모습을 보여주어라. 대중들의 시선에서 멀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절대로 대중들의 눈에 거슬리는 행동을 하지 마라." - P96

메디치 가문의 진정한 리더십은 끝까지 은둔의 미학을 지켰던 코시모의 삶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후대의 코시모들이 이름만 따르고 그 정신을 따르지 못했을 때, 메디치 가문은 멸문의 길에 들어선 것이다. - P100

가문의 대는 끊겼으나 가문의 정신은 지금도 살아 숨 쉰다. - P100

이 엄청난 보물 중에 보티첼리의 <코시모 데 메디치의 메달을 들고 있는 청년>이 있다. 언제나 변치 않는 신중함과 겸손함으로 피렌체 시민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았고, 이탈리아의 국부로 불렸던 코시모 데메디치의 정신이 피렌체 청년의 품에 영원히 간직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 P101

위대한 정신이 위대한 가문을 낳았다. 그 정신이 쇠퇴하자 가문은문을 닫았다. 메디치 가문은 정신의 위대함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역사적 선례를 남겼을 뿐 아니라, 그 위대한 정신이 쇠퇴하면 그 역사도 끝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 P1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