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사람들은 시기심을 억누르기 위해 물건을 숨긴다.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시기심을 억누르기 위해 물건을 함께 나눈다. 아이슬란드 음악가들은 서로를 돕는다는 것이 라루스의 설명이다. 한 밴드에 앰프나 리드 기타리스트가 필요하다면, 다른 밴드가 아무런 조건 없이 도와준다. 아이디어도 시기심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자유로이 흘러 다닌다. 시기심은 일곱 가지 죄악 중에서도 가장 지독한 죄다. 조지프 엡스타인은 시기심에 관한 글에서 일단 시기심이 풀려나면 "그것에 사로잡힌 사람의 모든 것을 망가뜨리는 경향이 있다"라고 썼다. - P264

경쟁을 뜻하는 단어 ‘compete‘의 어원은 라틴어의 ‘competure인데, 이 단어는 ‘함께 구하다‘라는 뜻이다. - P265

파리똥처럼 자그마한 이 나라의 인구에서 예술가와 작가의 비율이 다른 나라보다 더높은 이유가 도대체 무엇일까?
"실패 때문입니다." 라루스가 안경을 콧등 위로 세게 밀어 올리면서 말한다. 말한다.
"실패라고요?"
"예, 아이슬란드에서는 실패가 낙인이 되지 않습니다. 사실 어떤의미에서는 실패를 오히려 찬양하죠."
"실패를 찬양한다고요? 그건 좀………… 터무니없는 소리 같은데요. 실패를 찬양하는 사람이 어디 있어요?"
"그럼 표현을 좀 바꾸죠. 우리는, 누구보다 착하기 때문에 실패한사람들을 좋아합니다. 그 사람들이 실패한 건 냉혹하지 못한 성격때문일 수도 있잖아요." - P265

긍정적인 심리학 운동의 창시자인 마틴 셀리그먼도 행복한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좋은 일이 실제보다 많았던 것으로 착각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우울한 사람들은 과거를 정확히 기억하고 있었다. "너 자신을 알라"가 최고의 충고가 아닐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약간의 자기 기만은 행복의 중요한 구성 요소다. - P267

이제 나는 결론을 내린다. 순진한 사람들이 지금보다 조금만 더 많아진다면 세상이 훨씬 더 좋아질 거라고. - P273

"작곡할 때는 시간의 흐름을 잊어버려요. 정말 행복한 작업이죠.
자기가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을 하고 있는 거니까요. 작곡은 나자신보다 훨씬 더 위대한 작업이에요. 그 일을 통해서 내가 커지는 느낌이에요."
이것은 미하이 칙센트미하이가 정의한, 몰입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행위자와 행동을 구분하는 선이 흐릿해지다 못해 때로는 아예사라지기도 한다. 무용수는 이미 존재하지 않고, 오로지 춤만 존재한다. 몰입과 행복은 같지 않다. 사실 우리가 자신의 행복을 확인하려고 몰입에서 빠져나오면 두 가지 모두 잃어버린다. - P280

힐마르는 자신의 지나친 도서 구입을 비판하는 사람들에게 항상 똑같은 대답을 한다.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시간을 낭비했는지 연구하는 건 결코 시간 낭비가 아냐. - P281

우리를 행복하게 해주는 건 우리가 믿는 대상이 아니라 믿는 행위 그 자체다. 무엇을 믿든 상관없다. - P283

널리 여행하는 사람은 재치가 필요하다.
어리석은 자는 집에 가만히 있어야 한다. - P284

사람은 술을 마실수록 아는 것이 적어져서 흐리멍덩한 바보가 된다. - P284

적당히 현명한 것이 최선이다.
지나치게 꾀바르거나 영리하지 않게.
학문이 깊은 사람이 진심으로 행복한 경우는 드물다. - P2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