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 길이란 강을 따라 생겼고 또 강을 끼고 달릴 때가 가장 아름답다. - P120

여러분, 먼 길을 오시느라 고생 많았습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보여드릴 것이라고는 산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저 무표정한 산들을 잘 보고 가십시오. 설악산 같은 절묘한 구성도 없고, 남도의 능선처럼 포근히 안기는 느린 곡선도 없습니다. 오직 직선과 사선만 있습니다. 그러나 그게 산의 정직성이고 강원도 태백산 자락의 진국입니다. 맛있게 요리된 반찬이 아니고 밭에서 금방 뽑아낸 싱싱한 무 같은 것입니다. - P122

아우라지에서 정선에 이르는 산과 강은 국토의 오장육부가 아니고서는 세상천지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유장한 아름다움과 처연한 감상의 집합체이다. 그래서 고은 선생은 평창에서 비행기재를 넘어 비봉산 고갯마루에서 멀리 정선읍내를 바라볼 때 찾아온 감정은 "뭐라고 말할 수 없는 도달감과 단절감"이었다고 술회하였다. 나는 그때 고은 선생은 강을 넘어가지 못하는 산의 숙명을 본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 P123

나는 여량땅 아우라지강가에 서서 낙엽송 군락들이 줄지어 정상을 향해 달리는 저마다 다른 표정의 높고 낮은 산봉우리들이 수수만년을 저렇게 마주보면서 단 한번도 만날 수 없음은 바로 그 자신들로 인하여 이루어진 강을 넘지 못함 때문이라는 무서운 역설(逆)의 논리를 배우게 되었다.
한 시대를 이끌어가는 각 분야의 어떠한 거봉(巨峰)들도 결국은 역사라는흐름, 민의(民意)라는 대세를 넘지 못하고 어느 자리엔가 멈출 수밖에 없는 지식인의 한계, 인간의 숙명 같은 것을 보았다. - P1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