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걸과 초식남의 세상, 도쿄 - 일본 JP뉴스 기자의 톡톡 튀는 일본 남녀 엿보기
안민정 지음 / 창해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일본드라마나 일본소설 등을 통해 일본사람들이 사는 모습들이 크게 낯설지만은 않게 된 요즘. 우리와는 조금 다른, 그들의 사고 방식과 삶의 방식이 궁금해지는 장면들이 있다. 철두철미한 일본의 더치페이 문화, 전세는 거의 없고 엄청난 월세를 매달 지불해야 하는 주택문화, 혼자서도 고깃집에 고기를 구워먹으러 가는 나홀로문화, 오타쿠, 히키코모리, 프리타 등의 신조어로 대변되는 새로운 일본의 사회현상 등등. <모리걸과 초식남의 세상, 도쿄>에서는 일본에서 오래 거주한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인들의 사고 방식과 삶의 방식을 세세히 분석하고 일본의 최근 트렌드를 알려주고 있다. 기존에 많이 출판된 고착화된 일본의 이미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책이나 일본 여행지침서가 아니라 일본의 현재 모습 그대로를 젊은 시각으로 바라보고 여러가지 생각과 비교, 비판을 곁들인 생생한 책이다.

 '1장 모리걸과 초식남의 세상, 도쿄'에서는 일본 여성들이 선호하는 여러가지 모습들과 이미지들을 살펴보고 있다. 노소를 불문하고 '카와이可愛い(귀엽다는 뜻)'라는 말을 들으면 좋아하고, 스스로 가슴이 큰 여자가 되기를 바라며, 직업전선에 뛰어들어 남성들과 겨루는 과정에서 '육식화'되고 '수컷화'되어지고, 연애에는 관심없는 '건어물녀'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자상한 남편을 선호하고, 우락부락한 근육남보다는 잔근육이 있는 마른 듯한 남성을 좋아한다는 등등. 평소 즐겨보는 일본드라마를 되짚어 볼 때 과연 여자들 사이에서 '키레이きれい(예쁘다)'보다는 카와이가 많이 쓰인 것 같고, 칸노 미호, 아마미 유키 등 당당하고 자립적인 여성상을 그린 드라마가 제법 많으며, '호타루의 빛'을 통해 '건어물녀干物女'가 널리 알려졌고, 일본 남자배우들이 벗은 몸은 근육이 거의 없는 조금은 밋밋한 상체였다. 일본에서 살아본 적이 없으니 일본드라마를 통한 간접비교. ^^;

 '2장 일단 줄부터 서고 보자'에서는 일본인들의 여러가지 습성과 문화를 알려준다. 이제는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오타쿠', 철두철미한 시간개념, 술을 즐기지 않는 젊은이가 늘어나는 현상, 원하는 것을 위해서라면 사흘밤낮을 가리지 않고 줄을 서서 사는 줄서기 문화 등등. 오타쿠는 우리나라에서도 부정적인 이미지가 되어버린지 오래지만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음악 등 문화전반의 수준을 끌어올리고 자신이 심취한 분야에서 만큼은 돈을 아끼지 않기 때문에 일본경제를 이끄는 하나의 주도집단이라는 사실. 새로운 기종의 게임기나 전자제품이 출시되면 해당 출시일에 다른 사람보다 먼저 손에 넣기 위해 밤을 새서 줄을 서 기다리는 모습들은 우리나라 신문이나 뉴스를 통해 자주 보도되기도 한다. 일본인들이 신봉하는 여러가지 미신들을 소개한 부분도 무척 흥미로웠다.

 '3장 사랑도 더치페이?'에서는 일본인들의 연애관, 결혼관을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비해 조금은 과감하게(?!) 다가오는 첫만남시의 스킨십, 네 커플 중 한 커플 꼴로 속도위반결혼, 일본에도 고부갈등이 있다는 것, 독신이 늘어나는 이유, 일본의 결혼 진행 모습 등. 대체로 우리나라의 모습과 다르지 않은, 보편적인 모습과 그 이유들이 많다는 느낌이었다. 버블 경제가 무너지고 불황을 겪고 난 후에 생긴 안정지향적인 모습들과 기존의 강하고 독단적인 남편보다는 자상하고 가사일을 도와주는 배우자를 선호하는 점 등. 결혼을 '못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이유 중에서 '여성의 사회진출', '이성과의 접촉기회가 줄어든 것'이라는 보편적인 분석 외에 일본만의 독특한 '프리터'를 든 점이 흥미로웠다. '프리터'란 정규직에 취업하지 않고 자유롭게 아르바이트를 통해 생계를 꾸려가는 젊은 층을 말하는데, 우리나라에 비해 아르바이트 보수가 상당히 높고 아르바이트 문화가 발달한 일본이기에 나타날 수 있는 새로운 직업군이다. 10대 후반, 20대 초반부터 경력으로 인정되지 않는 프리터를 하며 생활해 나가는 젊은이들은 결국 취업연령이 되어서도 프리터로 남을 수 밖에 없고, 수입이 부족하니 결국은 결혼을 배제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일본드라마, 일본소설에서도 "일단은 프리터로 살고 있어요."와 같은 대사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며, 프리터가 주인공인 <프리터, 집을 사다(フリ-タ-、家を買う。)>와 같은 작품도 있다. 아르바이트비가 최저임금선을 뚫고 내려가기도 하는 우리나라에서는 결코 등장하기 쉽지 않은 문화라 할 수 있겠다.

 '4장 호기심을 부르는 일본 스타일'에서는 일본만의 톡특한 문화들을 소개한다. 일본 라멘, 서서 먹는 음식점과 술집, 일본인의 생강 사랑, 남에게 볼일보는 소리를 들리지 않게 하기 위한 벨, 선풍적인 인기를 끄는 도쿄 걸즈 콜렉션 등등. 가장 흥미로웠던 것 중 하나는 신년초 백화점에서 판매하는 복불복 주머니 '후쿠부쿠로福袋'였다. 여러가지 상품으로 포장된, 내용물을 알지 못하는 쇼핑백을 정해진 가격에 구입하는 것인데 대체로 구입가격보다 더 비싼 물건들로 채워져 있기에 손해는 보지 않지만 필요없는 물건이나 선호하지 않는 스타일의 물건이 들어있을 수 있어 말 그대로 복불복이라는 것. 괜히 지금 당장 직접 사볼 것도, 살 수 있는 것도 아니면서 '아, 이러이러한 물건들이 들어있는 후쿠부쿠로가 걸렸으면.'하는 엉뚱한 상상에 빠져 허우적대기도 했다.

 현재의 일본과 일본의 풍속도를 가감없이 잘 보여준 <모리걸과 초식남의 세상, 도쿄>. 현지인의 시각에서 기자의 분석 솜씨로 깔끔하면서도 날카롭게, 다채롭고 흥미롭게 잘 정리해 놓았다. 아무래도 저자가 여성이다보니 주로 여성의 시각, 일본의 여성과 관련된 주제들이 많다는 점도 전반적인 특징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제목에 쓰인 '모리걸'과 '초식남'은 무슨 뜻일까. '모리걸森girl'이란 풍성하고 자연스러운 옷차림, 여유롭고 자유분방한 행동을 하는 스타일의 여성을 뜻한다고 한다. '초식남'은 연애에 적극적인 '육식남'에 대비되는 표현으로, 연애보다는 자신의 취미나 여가생활에 더 치중하는 남성을 뜻하는 신조어. 그렇다면 모리걸과 초식남이 서식하고 있는 지금 도쿄는 대자연 속 수풀森과 푸르른 초원? ^^;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모리걸 패션과 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초식남이라는 말은 바다를 건너온지 몇 해 되었다. 서울이, 대한민국이 푸르게 물들 날도 머지않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