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의 기술 - 나이 들수록 지혜, 행복, 가족, 관계, 내면이 충만해지는
이호선 지음 / 오아시스 / 2025년 10월
평점 :

이호선 교수님은 대중매체에서 자주 뵙던 분인데 상담하시는 내용이 내 마음에 와닿는 부분이 많아서 좋아한다. 이 분의 신간이 나왔다고 하여 얼른 손에 들었다. 그동안 아이들 서적을 위주로 읽었는데 요즘은 나에 관련 된 책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던 찰나에 이 책을 만나는 것은 행운이다. 나도 40대중반이다. 몇 년 전 마흔이 되었을 때 막연히 벌써 마흔인가 싶어서 마음이 쿵! 하고 내려 앉는 기분이었다. 그리곤 마음이 다급해졌다. 아직 아무것도 되어 있지 않았는데 뭔가 완성되어 있어야할 것 같은 나이가 다쳐온 듯한 기분. 꼭 숙제를 안해가서 혼나야하는 학생의 다급함 같은 것이었다.


그런데 내년이면 마흔 다섯이다. 마흔하고도 다섯해가 다가오고 있다.
이책의 첫 장에 나의 다급함을 잠재워줄 한 줄의 글귀가 마음의 안정을 준다.
가장 뜨거울 나이,
마흔 속에서 자신만의 열매를 맺길 바랍니다.
마흔은 불혹이라고 한다. 세상에서 마주하는 것들에 더 이상 쉽게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마디로 이제 자신의 주관을 가지고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런데 저는 아직도 일희일비하는데... 이런 저를 괜찮다며 다독여주며 괜찮다고도 하고 앞으로 하늘의 뜻을 안다는 지천명을 잘 맞이할 수 있도록 따뜻한 조언을 해주는 책이 마흔의 기술이라는 책인 듯하다
여기서 교수님은 마흔은 꽤 가지고 있으나 아직 덜 가진 나이라고 한다. 에전 마흔에는 벌써 아이들이 장성하기도 하고 중장년층으로 분류되지만 지금은 마흔은 아직 결혼을 하지 않았을 수도 결혼을 했더라도 아이를 낳지 않을 수도 자녀가 있지만 자녀가 어릴 수도 있다. 예전 마흔이 아니라 예전 서른쯤으로 살고 있는 듯 한다. 수명이 늘어나고 경쟁이 심해지면서 나이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바뀌기도 한 느낌이다. 그래도 마흔은 뭔가 서른과는 다른 느낌이 든다. 20대에서 서른이 될 때는 이제 정말 어른인가. 어른 이어야하는데 싶었는데 마흔에는 어른 노릇을 잘 하고 있는가. 잘못하고 있는 건 아닌가. 싶은 두려움이 있었다.
이책에서는 불안한 마흔을 맞이하는 사람들에게 인생의 숲을 헤쳐 나가는 마흔의 기술에 대해서 알려준다.
한번쯤 아니 두세번쯤 읽고 자신에 비추어 좀더 단단한 마음으로 마흔을 쉰을 맞이 해보길 바라는 마음이다.




우리는 대부분 서민입니다. 이 문구 너무 좋다. 나는 적어도 서민이다. ^^ 각종 드라마에서는 재벌이 등장하고 인스타 와 같은 sns에서는 명품, 해외여행 기타 등등 나의 생활과는 전혀 다른 세상의 이야기들이 나온다. 그저 부럽다. 부럽다가도 내 처지와 비교해서 한숨이 나오기도 한다. 그래서 제가 점점 아날로그가 되어가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이런 마음이 들때 이호선교수님은 대부분은 서민이라고 이야기하신다. 모두가 비슷비슷하다고. 아침 9시에 출근해서 6시까지 죽도록 일하고 퇴근해서 술 한 잔으로 스트레스를 날려버리려는 것이 나쁜 게 아니라고 한다. 다들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니 불행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웬지 이말에 위안을 받는다. 일하고 있고 내가 일함으로서 내 아이들도 건강하게 키울 수 있으니 다 괜찮은거라고.
타인과 비교하지말고 현재의 삶속에서 행복을 들여다보라고. 제가 요즘들어서 마음이 힘들때마다 현실에 부딪힐 때마다 자주 하는 방법인데 잘 하고 있다고 칭찬받는 기분이 들어서 좋았다.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에는 마음이 아닌 몸에서 나오니 감정과 상관없이 평소의 루틴을 지키며 일어나고 밥먹고 출근하고 운동하고 귀가하는 생활을 하다보면 힘들었던 감정도 다시 돌아온다고 한다. 일상을 유지하다보면 다시 일어날 수 있는 힘도 생긴다고.
이책은 힘들고 지치고 불안한 마흔을 맞이하는 이들에게 위안과 확신을 줍니다. 괜찮다고 다독여주고 지금까지 달려온 30년 세월도 잘 해왔다고 그러니 다가올 40대도 지금처럼만 하면 된다고 말해준다. 그리고 저처럼 마흔을 혼란과 불안으로 보내고 있는 이들에게는 불안을 잠재우는 방법과 40대를 잘 보내고 담담하게 50대를 맞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상담관련 책들은 잘 읽지 않았는데 평소 명확하게 상담해주셨던 이호선교수님의 책이라 믿고 읽어보았는데 따뜻하면서도 확신에 찬 어조로 불안함을 잠재워 주는 책이라 한 해가 얼마 남지 않는 지금 읽어보기 참 좋은 도서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