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여우인가 나는 늑대인가 - 동물을 읽으면 인간이 보인다
오바라 요시아키 지음, 신유희 옮김 / 살림 / 2017년 6월
평점 :

동물을 읽으면 인간이 보인다
남자와 여자의 본능은 어떻게 다른가?
인간과 동물이 가족사회로 진화한 이유는?
동물 행동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간의 번식 본능과 가족의 의미를 되새긴다
자신의 새끼를 기꺼이 죽이는 사자,수컷에게 선물을 요구하거나 교미를 미끼로 이용하는 곤충들,
자기 몸을 새끼에게 먹이는 거미, 스스럼없이 바람을 피우는 새까지, 이책에 등장하는 야생의 동물과
곤충들은 치열한 생존경쟁과 번식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저마다 독특하고 기발한 행동을 펼친다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수컷은 구애에서부터 결혼과 번식에 동참하고 자식 양육에 이르기까지 암컷에게 헌신의 노력을 다한다
암컷에게 구애하는 동물들의 기발한 계략과 고난도 기술은 인간을 능가할 정도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수컷에 비해 암컷의 모성애와 이브의 본능은 상상을 초둴한다
자식을 낳고 키우기 위해 지혜를 짜내야하고 포식자들로부터 새끼를 지키기 위해 전략 전술도 동원한다
거미는 먹을 것이 모자라 자식이 굶어 죽을 상황이 생기면 자신의 몸을 양식으로 제공하면서까지 모성애를 발휘한다
또한 자기가 낳은 자식을 위해 두번째 아내는 첫번째 아내의 자식을 살해하면서까지 남편이 자기 자식을 돌보게 만든다
어떻게 보면 정글에서 살아가는 동물들의 생존경쟁이 인간의 표본이라 할 수 있다
가족이란 존재를 새롭게 바라보고 가족이 인간에게 있어어 얼마만큼 중요한 존재인지 생각해 주었으면 하는 저자의 마음
앞으로 결혼해서 가족 생활을 지향할 젊은 사람들은 함께 가족을 이루는 남자와 여자가 어떻게 다른지, 남자와 여자의 생물학적인 차이 또는 특질을 충분히 이해해줄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나또한 가족이란 저자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중의 한사람으로써
이 책은 젊은 청년들이 많이 읽고 가족에 대해 결혼해 대해 남녀의 생물학적 특질중에 "행복한 가족을 구축하기 위해 남자와 여자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도는 무엇을 하지 말아야 되는지"에 관한 힌트가 담겨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