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 만나는 열하일기
표시정 지음, 구연산 그림 / 미래주니어 / 2017년 3월
평점 :

연암 박지원이 청나라를 다녀와서 쓴 시대를 앞서간 여행기
열하일기는 조선 정조 때 박지원이 청나라에 여행하고 돌아와서 쓴 기행문
박지원 선생은 학식뿐만 아니라 글과 그림에도 뛰어났다
특히 청나라의 신문물에 관심에 많아서 청나라를 오랑캐 나라라고 배척만 할 것이 아니라
선진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
이런 박지원 선생의 앞선 생각과 주장들은 열하일기에 그대로 나타나 있다
열하일기를 읽다보면 박지원 선생의 호탕한 성품과 세상을 바라보는 열린 시각에 놀라고
시대를 뛰어넘는 뛰어난 문장력에 다시 한번 놀라게 된다
청나라로 파견되는 사신단 연행사
병자호란 이후,,,조선은 청나라에 사대 관계를 맺고 해마다 청나라에 사실과 예물을 보냈다
조선에서 청나라로 파견되는 사신단을 "언행사"라고 부르는데
황제가 머무는 수도 연경(북경)을 방문하는 행사라고 해서 연행사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연행사는 주로 육로를 이용해 연경을 다녀왔는데 한양에서 연경까지는 대략 삼천리길인데 가는데만
40일 정도가 소요 되었다
하지만 장마 등 날씨로 인한 변수가 많아서 실제로는 50~60일 걸렸다고 한다
연암골짜기에서 숨어 살게 되었던 박지원은 홍국영이 조정에서 물러날 때까지 연암골짜기를 떠날 수 없었던 박지원
박지원은 태어남과 죽음에 이르기까지 박지원의 일대기가 잘 나와 있다
박지원의 여행의 모습이 잘 나와 있다
차례를 통해 박지원의 여행기가 잘 나와 있다
1780년 6월 24일 압록강을 건너서 7월 9일 요양에 이르기까지 15일 걸렸다
여행의 날짜와 날씨 다양한 정보들이 잘 들어 있어 열하일기를 통해 그때 그 시절에 어떻게 여행을 펼쳤고 어떤 모습이였는지 표현들이 잘
나타나 있다
부록을 통해 옥갑야화 허생전알게 된다
열하를 여행하고 연경으로 돌아온 박지원은 숙소인 옥갑에서 비장들과 밤늦도록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옥갑에서 밤새워 나눈 이야기라고 해서 이름을 붙여진 옥갑야화 속에는 여러편의 이야기가 있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허생전이 가장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