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끼를 찾는 자유학기제의 모든 것 - 덴마크.영국.아일랜드의 직업체험 현장부터 한국의 자유학기제까지
양소영 지음 / 꿈결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6년부터 전면 시행된다는 자유학기제는 도대체 무엇인가?

자유 학기제를 하면 아이들의 학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닐까?

올해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한다고 하는데 울큰아이들이 해당된다

그래서인지 더더욱 자유학기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관심을 가진다고 다 아는 것이 아니니

자유학기제에 대해 설명회를 들어 보기도 했지만

여전히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있다

자유학기제 직업체험 활동은 어떻게 준비해야하는지

직업체험 장소를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직업체험 활동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는지

답답한 것은 부모로써 사실이다

이 답답함을 해결하려고 이책을 잡아본다

덴마크,영국,아일랜드의 직업체험 현장부터 한국의 자유학기제까지 꿈과 끼를 찾는  자유학기제가 되었으면 좋겠다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에서는 진짜 세상을 보며 아이들이 자랄 수 있게 해 주는 것 같다

일반교육은 교사에게 진로지도는 진로 전문가에게

진로교육 및 상당메 대한 법이 추구하는 목표

학교 교사 대신 유스 가이더스 센터에서 파견된 전문 카운슬러가 학교에 머물면서 학생들의 진로 활동과 직업체험을 돕고 진로 상담을 함으로써 종합적인 진로지도를 책임진다는 것이 참 좋은것 같다

영국은 직업체험을 통해 의회에서 하는 일을 소개하고 학생들이 의회에 관심을 기울이고 미리 직업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어 의회가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운영하고 있는것이 참 색다르다

그밖에도 영국 교육부 제공으로 다양한 기업의 체험등을 볼 수 있다

아일랜드는 온마을이 함께 아이를 키운다고 한다

교육부는 변화하는 미래 사회를 대비해 아이들이 학교에서 시험공부에만 매진하는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 1974년부터 전환학년제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아일랜드는 우리나라 못지 않게 교육열이 높고 대입경쟁이 치열한 곳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1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전환학년제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점이 인상적이다

이를 위해 40년 동안 지속적으로 이 제도의 필요성에 대해 교사,학생, 학부모와 소통하고 공감대를 형성해 온 정부의 노력도 돋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자유학기제를 중학교 1~2학년에 시행하지만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파악하기에는 좀 이른 시기라고 생각해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때 희망하는 학생에 한하여 1년간 자율적이고 집중적인 과정을 선택해 더 깊이 있고 체험과 자아 발견의 기회를 갖도록 하는 고등학교 자유학기제를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앞으로 중학교 1학년이 아닌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시기에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방안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한다

"온마을이 함께 아이를 키운다"라는 말이 떠오를만큼 지역사회와 기업이 함께 직업체험을 준비하고 제공하는 아일랜드의 교육현장을 돌아보면서 우리보다 40년 앞서 전환학년제라는 새로운 시도를 한 아일랜드 사례들이 자유학기제를 준비하는 우리나라 학교,기업,지역사회에 작은 도움이 되면 좋겠다

자유학기제를 통해 학생들에게 배움의 기쁨을 경험하게 하고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나의 꿈과 적성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시간을 주자는 것이 이제도를 운영하는 이유

덴마크,영국,아일랜드의 사례와 조언들은 자유학기제 직업체험을 준비하고 있는 우리의 기업,기관들에게도 좋은 참고 자료가 될것이고 또 아직까지 익숙하지 않는 자유학기제 학부모들에게도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사실 올해 우리큰아이들이 해당되는 것이라 더더욱 관심을 가지고 보게 되는데

강의를 들어도 사실 의문나는 점도 많고

앞으로 어떻게 아이들과 함께 해 나가야하는지도 궁금해지는것도 사실이다

계속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면서 이책을 참고로 많은 도움을 얻고자 한다

직업체험 활용자료가 학생용,교사용,기업용으로 잘 나와 있고

자유학기제 활용자료 학생용도 부록으로 나와 있어 많은 도움이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