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서 - 삶의 근원은 무엇인가 ㅣ 인문플러스 동양고전 100선
황석공 지음, 문이원 엮음, 신연우 감수 / 동아일보사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황석공의 소서는 총6편으로 구성
사기, 유후열전 에 따르면 황석공이 이교에서 장량에게 소서를 주었다고 한다
세상 사람들 대부분은 그것을 삼략이라고 알고 있는데 이는 아마도 전하는 사람의 잘못일
것이다
동진의 난세에 어떤 도둑이 장량의 무덤을 도굴해 베개 속에서 이책을 얻었는데 모두
1,336자였다
황석공은 장량을 얻어 그 책을 전할 수 있었지만 장량은 전할 사람이 없어서 그 책을 무덤에
묻었다
이후 5백년이 지나 어떤 도적이 그책을 얻었는데 이로부터 소서라는 책이 세상에 전해지게
되었다
소서는 중국 전략서의 최고봉이자, 천고의 지혜를 담은 근단의 열매이기도 하다
황석공의 소서를 얻은 장량은 이책을 바탕으로 한고조 유방을 도와 천하통일의 패업을 이룰 수
있었다
소서는 도가 사상을 중심으로 유,법,병의 사상을 집대성했으며 도,덕,인,의,예를 입신과
치국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 한마디로 치국사상,민간의 지혜,천하를 얻고 다스리는 법이 망라되고 역사적 경험이 총결된책이다
소서는 다른말로 영경 또는 옥령경이라고도 불리며 격언 형식의 어록체로 되어 있다
이처럼 간략한 글귀 속에 매우 함축적인 의미를 담은 소서는 오늘날을 사는 현대인이 지혜의
경전으로 삼기에도 부족함이 없다
황석공은 앞으로 진나라가 망하고 한나라가 일어날 것을 알았고 그래서 이책을 장량에게 전했다
그러나 장량이 어찌 그책의 모든 것을 다 알았겠는가!!!
장량이 유방의 장자방이 될 수 있었던 것도 그저 그 가운데 한두가지를 쓸 수 있었던 데 불과하다
소서에는 "은밀한 계책이 밖으로 새나가면 패한다"는 말이 있는데 장량이 일찍이 이 말로 한 고조에게 한신을 왕으로 봉하도록 권했다 책에는
이런 말도 있다
"작은 원망을 풀어주지 않으면 반드시 큰 원망이 생긴다"
장량은 일찍이 이말로 한고조에게 옹치를 제후로 봉하도록 권했다
고전을 통해 나자신을 돌아보고 새롭게 알아간다
황석공의 소서는 중국의 고전이며 시대가 다르고 공간이 다르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한느 의문도 있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고전에는 국경이 없으며 사람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는것 또한 깨우친다
소(素)는 본디 ,바탕,
희다 등의 뜻을 가진 글자
소서라는 이름과 책의 의미를 해석하자면 흰색처럼 오염되지
않고 깨끗한 사람의 바탕 즉 근본을 제시하는 책이라고 볼 수 잇다
한나라 초기에는 죽간 대신 흰비단에 글씨를 써서 책으로 엮던 관습이 있었다고 하는데 비단에 쓴 것인
만큼 고급책으로 분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