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아이 - 평생을 살아갈 힘을 만들어주는 교육, 꿈, 성장 이야기
원준희 지음 / 북하이브(타임북스)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우리 아이들은 점수와 등수 같은 현재 눈에 보이는 몇몇 조건으로는 확정 지을 수 없는 "저마다 씨앗"을 품고 있다 혹시 우리는 현재 아이들이 품고 있는 씨앗의 크기만으로 아이들을 확정 짓고 있지 않은가?

씨앗이 작다고 나무도 작은가요?

씨앗의 색깔과 나중에 자라난 나무의 색깔이 같던가요?

씨앗으로 나무의 모습을 가늠할 수 없습니다 원리로 현재의 아이 모습으로는 미래의 아이 모습을 가늠할 수 없습니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아주 어린 아기일 때는 보호자 걷고 말하기 시작할 때부터 학령기전까지는 훈육자, 초등 4학년 무렵부터 시작되는 성장기부터는 멘토 역할로 부모의 역할 역시 달라져야 한다고 합니다

보호자가 아이의 안전을 위해 모든 것을 돌보고 챙겨주는 존재라면 훈육자는 그보다 좀 더 나아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규칙을 알려주고 익혀가게 해 줍니다  멘토는 역할모델이자 함께 배우는 스승 혹은 안내자로서 삶의 기준점을 제시해 줍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선물은 도전

즐기도록 가르치는 것 실수를 흥미롭게 바라보도록 해주는 것

노력을 기꺼이 즐기도록 해 주는 것

그리하여 인생에서의 진자 공부를 지속하게 해 주는 것

아이들이 성인이 되기까지 익혀야 할 가장 중요한 스킬

생각하는 법, 노력하는 법, 연습하는 법

아직 완성되지도 않았고 스스로 독자적으로 무언가를 해낼 수 있는 능력은 없지만 어른이 되어 겪게 될 삶의 궤적을 만들어가기 위해 자기만의 힘으로 생각하는 법을 키웁니다

자신이 원하는 모습이 되기까지 자기만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연습하고 설령 기대했던 성과가 쉽사리 나오지 않을 때에도 좌절하지 않고 노력하는 습관을 만들어가는 것이 이 시기

우리 아이들이 첫세상을 알게 되는 곳이 학교

학교에서 성취를 경험한다는 것의 의미는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이 아니고 반에서 1,2등을 하고 반장을 하고 명문고,명문대에 진학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도 아닙니다 여러과정을 잘 수행한 결과 ,좋은 결과까지 얻는 다면 좋겠지만 실패로부터 무엇을 배우느냐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 것

목표는 공부 잘하는 아이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생이라는 긴 항해를 통틀어 볼 때 공부는 다양한 삶의 양상 중 극히 일부를 준비해 나가는 과정에 불과합니다

이공부 다시 말해 세상으로 나가기 위한 준비 하는 과정에서 체득하게 되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여러 요소들이 있습니다

대안학교를 선택하는 나의 주위에도 있습니다

대안학교를 선택한 일부는 고등학교 과정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하거나 대학엘 가고 싶어하는 아이로부터 원망 섞인 한탄을 듣는다고 합니다 아이란 모름지기 구김살 없이 잘 노는 것이 최고라고 여기거나 혹은 도시의 학교들로부터 받은 여러 상처와 고민 때문에 자유와 방임을 허락했던 부모들

막상 그런 자유를 누린 아이가 머리가 크고 나니 "경쟁도 실패도 경험할 수 없는 곳에서 지내면서 아무거솓 할 줄 아는 게 없어진 스스로의 모습을 맞닥뜨리고는 크게 후회하게 되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게된다

사실 아차하면 대안학교를 생각하면 되지 하는 엄마들이라면 베이스를 깔고 있었는데 대안학교의 장단점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것 같아 이런 선택도 잘 선택하여 결정하길 바랄 뿐이다

경험하고 상처받고 좌절하고 다시 그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면역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존로크는

아이가 아주 어렸을때부터 가장 많은 시간을 들여서 꾸준히 신경쎠야 할 것이 있는데

아이가 도덕적 원칙이나 예의범절을 몸에 익히고 행동에 옮기게 하는 것

덕과예절이 몸에 밴 아이는 쉽게 탈선하지 않는다

인간으로서의 자긍심과 상대방 인간에 대한 예의

우아함,정중함, 예의바름이 최대한 습관이 될 만큼 몸에 배도록 하려면 그것을 가르치는 사람, 즉 부모나 양육자가 모범이 되어야 한다

진정으로 아이를 아낀다면 아이에게 다음 네가지를 물려줄 일이다

덕성,지혜,교양,학식

제임스 볼드윈의 명언

말로 들은 것(잔소리)을 실천하는 것보다 보이는 것(모범)을 따라 하는 것이 인간본성과 훨씬 더 가깝기 때문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