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을 철학하다 - 당신에게 집은 어떤 의미인가요?
에드윈 헤스코트 지음, 박근재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집은 당신의 또 다른 인격이다
이말에 왜 내 가슴에 못을 박듯 내 가슴에 꼽히는지 모르겠다
집은 삶의 기반이자 우리가 이 지구, 이도시 혹은 이 풍경속에 뿌리내리게 하는 장소이다
집은 우리에게 영속성과 안정성을 주며 우리는 그 주변에서 또 그안에서 인생을 설계한다
잠시 나를 표현하는 공간 부엌에 다녀왔습니다
책을 읽다 부엌으로 가 잠시나마 정리를 하고 돌아와 책을 읽어봅니다
정말 집이 철학이고 우리가 태어나고 평온하게 살다가 죽음까지 지내게 되는 곳 집
하지만 요즘 집의 의미가 많이 달라졌다고는 하나 집에 대한 우리들의 마음은 거의가 다 한결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전에는 집에서 태어나 집에서 인생을 온 가족이 둘러 있는 곳에서 숨을 거두게 되는게 인생사였건만
이젠 집은 그냥 막연하게 우리의 피난처처럼 평온을 찾기란 어려운 것 같다
집에 속해 있는 많은 부담감이 있어서일까 아님 모든 것이 밖에서 이뤄져서일까
하지만 우리가 살아가는데 집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기회가 된 것 같다
이젠 태어나는 것도 차디찬 병원에서 태어나고 죽음도 차디찬 병원에서 죽음을 맞이할 것이다
그런데 이책을 읽고 집에 대한 생각들이 많이 바뀌게 된다
집안에 액자하나까지도 다 의미가 있고 집속에 펼쳐져 있는 모든 공간들이 그져 이뤄진 것이 아님을 알게 된다
과거와 지금의 집을 바라보는 모습과 생각들이 이렇게 다를 수 있는가 하면서도 그속에 있는 뭔가는 과거나 현대를 살아가는데 그렇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현대는 집이 아파트로 한건물이 여러가구들이 살아간다는 이런 점이 다를까
과거의 집안에 이뤄진 모습들 계단,지하,단락방등 우리가 느껴보지 못한 그런 집안의 모습들이 달라 아쉽기도 하다
무서움의 공간 단락방, 지하실,계단이였다면 지금은 그런 것 조차 보기가 힘들다
집의 의미가 이렇게나 시대적으로 다르고 또 결국 돌아보면 다르다고 할 수 없는 것 같은 집의 의미
집에서 살고 있지만 창문,거실, 부엌,침실,천장,책장등 27개 살므이 공간에 대한 깊은 생각이 묻어 있는지를 이번에 깨닫게 된다
집이란 그냥 먹고 자고 있고 하는 그런 좁은 의미의 공간이 아니라 이속에는 인간의 인생이 담겨 있는 집을 철학한다는 말이 왜 나왔는지를 알
수 있다
집을 그동안 느껴보지도 알지도 못한 부분까지 다 알게된다
결국 집속에 인간의 모든 관계가 형성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집짓기 전게 어떻게 살것인가를 묻는 것이 건축이다
새로 짓고 꾸미는 것만이 아니라 집의 가까운 상징과 먼 의미를 알고 즐기는 것도 건축이다
현관에서 침실을 거쳐 다락방까지 살피고 통사에서 미사시까지 사회학에서 심리학까지 아우르며 꿈에서 일상까지를 품는 집의 의미를 짚어 내는
저자의 눈이 밝고 촘촘하여 집을 새롭게 보게 한다
요즘 들어 현대인들이 살고 있는 집에 회의를 느끼고 있는 현실이다
똑같은 모양에 똑같은 구조에 똑같은 곳으로 들어가는 남들과 색다른 것이 하나도 없는 집을 나만의 집을 갖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을때
이렇게 책을 읽어본다
그동안 마냥 집을 희망하고 집을 생각한 나를 아니 현대인이 모두가 그럴것이다
집하면 마냥 간단하게 다들 답하지 않을까
하지만 이책속에는 집의 의미를 철학적으로 현대부터 고대까지 이르러 집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게 되고 보니 이제 집이 그냥 쉬고 자고 먹고
씻고 나만의 공간이 아니라 집속의 의미를 알 수 있을것 같다
다시 집을 돌아보고 집을 점검하는 기회를 얻는다
집을 소중히 여기고 집을 잘 가꾸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