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저블 이펙트
김동준 지음 / 지식공간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디어는 머리가 아니라 눈(eye)이 만든다는 이 글귀가 자꾸 머리에 박혀 맞아 그동안 왜 우린 계속

머리만 강조하면서 살아왔을까 하는 말이 입에서 튀어나오게 하는 군요

그동안 무조건 머리면 다 되는 줄 알고 살아온 나의 현실을 돌아봅니다

비저블(visible)이란 창의적 협업에 쓰이는 도구의 하나로 조직 창의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수단

방법은 매우 간단하며 미팅, 회의 ,프로젝트 등의 모임 참석자 누구나 볼 수 있게 종이 위에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는 것

그림이나 사진 같은 이미지를 중심으로 표현해도 좋고 그래프 형태로 만들어도 좋아요

간단한 선과 같은 기호만 활용하고 나머지는 글로 표현해도 무방합니다

왜냐면,,,비저블은 글만으로 표현해도 된다는 점에서 이미지 중심의 비주얼과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포스트잇을 덕지덕지 붙여도 상관없구요이미 알고 있는 방법을 같이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어설프게 보여도 괜찮아요 알아볼 수 만 있다면 딱이죠

비저블에는 한가지 조건이 반드시 함께 해야한다는 사실

한장의 종이 위에 서로의 생각을 꺼내놓고 함께 들여다보아야 하며 이렇게 종이 위에 표현된

각자의 생각들은 다른 이들에게 영감을 주어 평소에는 생각지 못했던 창의적 아이디어가 번쩍

떠오를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이것이 비저블이펙트입니다

자기공개가 혁신의 시작이라고 하는데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내가 가진 정보부터 꺼내야 한다고 합니다 사실 이부분에 참 많은 갈등이 되네요 그동안 전 나의 정보를 꺼집어 내어 사람들에게 말을 해 줍니다

하지만 그 정보를 얻어 자기들은 나중에 보면 나보다 더 멀리 뛰고 더 나보다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서 함께 공유하지 않는 모습에 계속 나만 꺼집어 내어야하는지 하는 의문도 들기는 아직도 입니다

혁신이란 매우 멀고 험난한길이라고 그시작은 가장 가까운 곳에서 부터 바로 나부터 시작해야한다고 하니

결국 답은 나부터 시작하는 것이 맞는군요

내가 정보가 늦어도 내가 아는 정보를 모두 꺼집어 내어 사람들과 함께 공유를 해야하는 군요

결국 혁신의 시작이 나부터 해야하는 군요

말하는 사람은 자신의 의사를 명확히 드러내도록 노력해야하며 목적이나 의도를 표현하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오해를 사기 마련입니다

마음을 꺼내서 보여주는 것

마음이란 본디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인비저블(invisible)이지요 눈에 보이는 형태로 바꾸어서 보여주어야 합니다 글이든 그림이든 기호든 무관합니다 종이에다 무엇이든 끼적여서 시각적 형태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눈으로 볼 수 있는 것 즉 비저블 (visible)로 만드는게 중요합니다

마음의 이미지 인비저블상태와 종이위의 이미지 비저블 상태를 이제 나타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나의 마음의 생각을 꺼집어 내어 종이위에 나타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비저블을 도입하면 효과가 높아지는 창의 도구 3가지

첫째,,,오해 많은 도구 브레인스토밍

둘째,,,순서대로 하나씩 6개의 다이아몬드

셋째,,,한번에 하나씩 여섯 색깔 모자 사고

누구나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고 이 의견들은 모두 존중받아야하며 평등 혹은 존중의 사고는 모든 창의적 사고방식의 공통점이기도 합니다

위3가지 도구는 사실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비저블은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어떤 조직에 들어가 일을 할때 소통이 막혔다고 생각할때가 너무나 많습니다 조직내에 소통을 가로막고 있는 장애물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소통하지 못하는 조직은 결국 고객을 소외시키는 군요

조직의 중심에 고객을 두기 위해서는 먼저 나자신이 아닌 우리를 놓을 줄 알아야하며 나의 총합이 아닌 하나로 잘 어우러진 우리가 서야합니다

우리 각자의 역할과 책임은 다르지만 우리 모두 조직의 사명을 완수할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일이든 의도를 가지고 의미를 만드는 것 그것이 멋진 디자인

디자인이란 의도를 가지고 목적 혹은 용도에 맞게 수단을 활용하여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의미를 만드는 것이다 의도를 가지고 의미를 함께 만든다는 것은 그 출발점이 의도의 공유이고 공통의 결과물인 의미가 소비자와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우리 모두 그 의도와 의미를 공감하면서 행복을 느끼는 사회적 과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