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자와 정자는 어떻게 아기가 되었을까? - 생식의 원리를 밝힌 논쟁의 과학사, 프랑스 과학 대중화상 수상작 지식은 모험이다 1
쥘리에트 누엘레니에 지음, 권지현 옮김, 모 부셰.전국과학교사모임 감수 / 오유아이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과학을 호기심의 학문이라고 한다 과학적 사실 자체에 호기심을 갖고 다가서기란 말처럼 쉽지 않다 이때 과학 뒤에 숨은 사람 이야기 역사를 먼저 살피는 것도 좋은 방법 

지식은 모험이다를 통해 어떻게 알게 되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추적하다보면 과학이라는 학문 곁에 한층 가까이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아기가 태어나려면 남자와 여자가 있어야 한다는 사실조차 몰랐을지도 모른다

남자와 여자의 결합을 임신과 연관 지어 생각한 부족들도 있었을것이고 남녀의 결합과 임신이 서로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깨닫지 못하는 부족도 있었을 것이다

아기를 가지려면 남자와 여자가  서로 사랑을 나누어야 한다는 것을 언제,어디서,어떻게 깨닫게 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확실한 증거를 얻으려면 문자로 남겨진 기록을 발견할때까지 기다려야 했는데 인류 최초의 문자는 기원전 3400년경에 만들어 졌고 기원전 1850년경에 문자로 기록된 최초의 증거가 이집트 카훈에서 발견된 파피루스에 들어 있고 아기낳는것 출산에 과한 내용이 이 파피루스에 최초로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지만 놀랍게도 단지 아기를 갖지 않기 위한 방법을 설명함으로써 아기가 생기는데 남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거꾸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

히포크라테스는 기원전 5세기에 아기의 기원에 관한 논쟁에 뛰어들어  남자와 여자는 동등하다

기본적인 형질은 물론 질병까지도 아버지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아이들을 매일 보았다

히포크라테스는 여자가 아기에게 아무것도 물려주지 않는다면 아이의 코가 엄마의 코를 닮은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에 반문하고 결국 히포크라테스는 남자와 여자가 아기를 만드는데 완전히 동등한 역할을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자는 결함이 있는 남자

여자는 자신의 몸속에서 자라는 아기에게 단지 살만 물려준다 그러나 남자는 아기에게 외모와 지능 행동 등 가장 중요한 것을 물려주므로 존귀하게 여겼다고 주장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자를 열등한 존재로 여기던 그시대의 편견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다

히포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쟁에도 천년이 흘렀어도 새로운 발견은 없었다는 것이다

400여년이 지났고 2000여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여전히 두사람의 이론을 바탕으로 논쟁

많은 학자들로 통해 아기가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여자 혼자서 아기를 만드다는 등 다양하게 논쟁이 벌어지지만 배란이 일어날때 여자의 몸을 해부해 보지 않았으므로 아무도 난자가 난소에서 나팔관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하지 못했다

17세기 말 대다수의 과학자들은 난자에서만 아기가 만들어진다고 생각했다

1677년 11월 포목 상점에서 일하다 확대경을 이용하여 옷감의 실을 세다가 미세 세계에 관심을 갖게 되는 네덜란드의 과학자 레이우엔훅이  현미경을 이용한 연구들로 명성을 펼치면서 정자들이 나타났다

이렇게 다양한 학자들의 논란과 논쟁으로 벌어지다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출산에 관여하는 비밀요원인 호르몬의 정체가 밝혀졌고 호르몬은 혈액 속에 흐르고 있는 화학 물질로 사춘기가 시작되도록 하는 등 여러가지 역할을 한다

여성 호르몬은 월경이 시작된 날로 부터 28일간 지속되는 월경주기와 배란 현상을 통제하고 배란을 막아 난자가 수정되지 못하게 하는 것이 1950년대 중엽 미국에서 처음으로 판매된 먹는 피임약의 목적이었다

그때부터 아기를 가질 것인지 말것인지 언제 아기를 낳을 것인지 등을 선택 할 수 있게 되었다

세계 최초의 시험관 아기는 1978년에 태어났다

생식의 비밀을 푼 역사적 순간들을 기원전 2000년경부터 짝짓기와 임신을 관련지은 문서가 작성되면서부터 19세기말까지 수정은 두생식 세포의 융합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생식의 원리를 밝힌 논쟁의 과학사를 통해 어떻게 아기가 되었을까?를 그동안 많은 학자들로부터 다양하게 밝혀진 사실들을 직접 체험하게 될 것이다

정말 신비롭고 다양하게 펼치는 학자들의 논쟁 또한 고대부터 지금까지 시대의 흐름 또한 알 수 있다

지식은 모험이다를 통해 다양한 지식을 알아가며 과학사를 알아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