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 1% 아이를 만드는 행복한 NIE 교과서 - 신문 활용 교육 33가지 활동 ㅣ 행복한 교과서 시리즈 2
정선임 지음 / 행복한미래 / 2013년 2월
평점 :

우리 큰아이가 6,7살때 내가 신문을 읽고 기사에 대해서 말을 해주면 어디서 그런말 나오냐고 그출처를 알기를 원해 신문이라고 하니 보여달라고 해 그때 그냥 기사가 있으면 보여주고 자기가 눈으로 직접 확인을 꼭 해야하는 성격이더라구요
그리고 신문읽기를 소홀히 했을까요
아님 신문에 대해서 너무 복잡다 하여 보여주질 않아서 일까요
아이가 신문 보는데 흥미를 잃고 살았던것 같아요
그런데 우리집에는 네가지 신문을 봅니다
그중에 작년부터 구독하고 있는 어린이 신문도 있습니다
어린이 신문일 오는 족족 그냥 박스에 모아서 두었습니다
언젠가 읽겠지 ,,,
언젠가 필요하겠지
그런데 계속 되는 쌓여가는 어린이신문을 통해 이제 끊어버릴까를 생각하고 있는 터에 이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아이가 책을 많이 읽고 한다고 신문을 소홀히 했었는데
그런데 이책을 반드시 읽어야 할 독자가 세상에 내가 해당되네요
우리아이가 올해 1,4,4,학년이 됩니다
솔직히 나또한 부모로써 책읽기 급급하여 하루하루 바쁘게 산다는 이유로 신문을 그냥 훑어보고 지나치는 정도,,,라고 할까요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알수가 없어 책을 읽다가도 그냥 스쳐 훑어보고 마는 입장인데도 창의적인 산물이 된다고 하니,,,맞는 말인것 같더라구요
내가 항상 하는말인데 신문을 꼼꼼히 읽지 못해도 그냥 훑어보는 건만으로도 알 수 있는 느낌이라고 할까요 전 울큰아이가 6,7살때 주위에서 애들한테 신문을 ,,,그래서 많은 갈등을 했습니다
책읽기도 적은 시간에 신문까지,,,그렇지만 작년에 어린이신문이라도 읽히자는 마음에서 구독하였는데 실패로 지금까지 어린이 신문이 쌓이고 있는데 책은 엄청나게 많이 읽어 위로를 받고 있었는데

P26에 잘 나와있는데 아이들이 기사를 읽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하는것이 바로 어휘를 익히는 것이라고 합니다 기사를 읽기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기본적으로 해야하는 것은 어휘익히기
신문제작과정
신문활용교육,,,Newspaper In Education NIE
신문의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하는 방법과 신문 자체에 대해 배우고 신문을 만드는 방법으로 나누어 지는데 궁극적으로 아이들의 창의적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고 읽기 능력과 정보활용능력을 키우기 위한 활동
나또한 아이들 방학때 신문을 함께 만들어보았습니다
이책을 읽고 그동안 아이들에게 매방학때마다 함께 만들었던 신문들이 구별없이 만들었지만 좋은 경험이 되었다는 생각도 하는데 이제는 한차원 더 업그레이드 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을 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