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을 한다는 것은
김보미 지음 / 북하우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앤프리를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아주 오래된 악기로, 아주 낯선 음악을 만들다
익숙한 것을 부수고, 낯선 것을 끌어안는 음악 이야기
세계가 사랑하는 포스트록 밴드 잠비나이 멤버, 
무형문화유산 이수자 해금 연주가 김보미의 음악과 삶을 들어본다.
이 책은 '음악을 한다는 것'은 나아가 '삶을 산다는 것'과 결코 다르지 않음을 몸으로 부딪혀 끝내 알아낸 이의 담담한 고백과도 같다고 할 것이다.
끊임없이 한계와 마주하며 싸우고 이겨내고 확장하고 무너지면 다시 일어나고, 무척 자주 의롭다고 느끼지만 돌아보면 수많은 사람들이 저자가 걷는 길에 동행하였음을 알게 되는 것, 음악과 삶이 아주 닮아 있다.

해금에 대한 악기에 대해 알게 되면서 새롭게 다가간다.
삶의 풍파와 절망과 초연이 한데 뒤섞인 그 소리가 궁금해서 들어간 학교였지만 현실은 지루하기만 했다고 한다.
지금은 정악에 스민 아름다움을 안다. 결코 지루하거나 멈춰 있거나 나태하지 않은 느림의 미학,
그러나 늘 감정을 표현하며 노래를 불러온 말괄량이에게 절제란 감내하기 어려운 숙제

전통음악을 바라보니 전혀 다르게 해석 되는 지점들이 눈에 들어왔다. 단적인 예로 산조가 그러했다. 입시를 준비하며 새로운 선생님과 산조를 다른 시선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알게 됐지만 산조는 여전히 어려운 음악.
산조를 풀어헤치기 시작
한 장단, 한 장단이 그러해야 하는 이유를 분석하고 납득할 수 있는 서사를 부여했다.
두 줄밖에 없는 악기 해금으로 남들이 하지 않는 악기로 지금의 모습까지 연출해 낸 모습이 대단해보인다.
익숙하지 않고 전공자들도 많이 없는 가운데 끝까지 한 길로 가고 있는 모습,
음악은 많은 이들로 위로가 된다. 그런 가운데 직접 연주자로써의 모습은 남을 위로 하기 전에 자신부터 위로가 되는데 전통 악기, 해금은 더 낯설고 색소하지만 많은 이들로 전통음악에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주게 되며 
악기를 통해 위로와 색소함과 낯설움으로 많은 이들이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주니 책을 읽으면서도 음악이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