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벌의 정석 -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의 과학
마틴 기발라 지음, 김노경 옮김 / 현익출판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앤프리를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더 스마트하고, 더 빠르고, 더 짧은 운동법, HIT
전 세계 스포츠과학의 바이블, HIT의 모든 것 
최대한 단기간에 몸을 만들고 싶은가?란 질문에 무조건 좋다고 그렇게 하고 싶다고 답을 하고 싶다. 왠지 그렇게 될 수 있겠지 란 기대감으로 책을 읽게 된다.
인간은 운동을 해야겠다는 말밖에 안 나온다.
이 책은 기대한 만큼 운동할 시간이 부족한 사람 대다수를 위한 운동법을 다룬다고 한다.
인터벌 트레이닝(간격훈련)이란 무엇인가부터 알고 가자
폭발적인 고강도 운동과 중간중간 회복 시간을 결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회복시간은 완전한 휴식이 될 수도 있지만 저강도 운동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쉽게 말하자면 일반적 지구력 훈련의 반대로 볼 수 있는데 지구력 훈련은 무엇이냐면 달리기 하면 떠올리는 것, 여기서 달리기를 수영이나 자전거로 대체해도 마찬가지 전통적인 운동 훈련은 대체로 일정 거리를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방식
핵심은 운동 강도를 바꾸는 것으로 힘들게 하다가 조금 쉬다가 다시 온 힘을 다하고 다시 긴장을 풀고 반복하는 것 강도가 높을수록 더 짧은 운동 시간으로 장시간 지구력 훈련을 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걷기말고는 운동을 해 본 적 없는 사람이라도 인터벌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하니 걷고만 있는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각각의 운동법과 그 운동에 이런 사람에게 추천도 해주고 운동방법까지 잘 나와 있다. 그중에서도 지방 태우기가 제일 관심이 간다. 나의 몸속의 지방들을 태워버리고 싶은 마음은 아마 나뿐만 아니라 거의 지방을 태우고 싶어할 것이다.
비만의 증가 그리고 많은 운동 프로그램이 지방 손실을 거의 또는 전혀 일으키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된다.
호주의 과학자들은 비활동적인 사람들을 위해 특별히 지방 손실을 목표로 하는 프로토콜을 설계하기 시작
인터벌의 감소에 있어 기본의 정상 상태 운동보다 월등히 뛰어났다는 점이 나타나 긴 인터벌을 조금 하는 것보다 짧은 인터벌을 많이 수행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하니 이 연구가 딱 들어 맞는다고 한다.
가장 효율적인 운동의 과학적 근거를 낱낱이 파헤치고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