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그렇게 살아야 할까 - 모든 판단의 순간에 가장 나답게 기준을 세우는 철학
히라오 마사히로 지음, 최지현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 모든 사람을 철학자로 만들어줄 세 가지 기둥 
사회의 정의,개인의 자유, 타인과의 사랑 
나를 둘러싼 모든 상황을 이해하고 삶의 방향과 이유를 발견하는 힘을 완성한다.
'어떻게'를 넘어 ' 왜 그렇게' 살아야 하는지 자신만의 철학을 가지고 있나?
자신감 넘치는 삶을 완성하는 실전 철학 공식을 만난다. 
이 책의 목적은 윤리학 전반을 쉽게 아우르면서 일상생활과 취미 또는 비즈니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답이 있는 문제부터 스스로 생각하는 문제까지 나아가려며 스스로 생각하는 힘이 중요하다고 한다.
요즘 많은 생각을 하고 있기에 이 책이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되면 좋겠다.
이 책의 사용을 어떻게 할 것인지 먼저 쪽지 시험을 본다.
문제에 대해 윤리학에서 중요한 것은 답을 도출하는 것뿐 아니라 그 이유를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
현실속에서 일상부터 픽션 세계에 이르기까지 윤리 및 도덕에 관해서는 설명하기 힘든 일이 많이 있다. 
윤리학이란 무엇인가부터 시작한다. 윤리학이란 무엇인지부터 생각하자
인간이기 때문에 윤리나 도덕이 문제가 되는 건 인간과 관련된 부분으로 인간은 생각하고 행동하며, 자유롭다.
동물은 본능이 있으니까 고민하지 않지만, 인간은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한다.  
윤리학은 윤리 또는 도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윤리,도덕은 인간의 삶의 방식 및 행위에 대한 가치 규범으로 쉽게 정리하자면 소크라테스식으로 말하면 '잘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다른 무엇보다도 이것을 배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잘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라니 제일 어려운 것 같다.
과연 어떤 것이 잘 산다는 것인지 생각을 해보자
윤리학이 하는 일은 사람들은 윤리에 대해 신뢰감이 약할 뿐만 아니라 별로 안 좋은 인상이 있는 것 같다. 
선악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라는 문제 이것이 도덕에 불신감을 가지는 가장 큰 이유인 것 같다. 
약간 복잡해진다. 
이 책을 통해 자신만의 철학을 가지는 시간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동안 잘 산다는 것과 어떻게 살아가야할까를 다시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기회인 것 같다. 



리앤프리를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