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게 일하고 많이 버는 AI 워커스 - 생성형 AI를 주무르는 최상위 일잘러들의 커리어 생존 전략
김덕진.김아람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적게 일하고 돈 잘 버는 일잘러들의 최상위 코스를 소개한다.
지금부터 레벨업하는 AI실무백과
 우리는 지금 AI라는 거대한 변화의 물결 앞에 서 있다. 매일 쏟아지는 AI 관련 뉴스들,  새로운 AI서비스와 제품들, AI는 어느 새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스며 들었다. 그런데도 난 아직도 낯설고 두렵고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고 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AI와 함께  일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하는데 AI의 힘을 이해하고, 그 힘을 업무에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 또한 아는데 어떻게 알고 알아가야할지 책들은 모두 활용할 줄 알아야한다고 하는데 현실은 막막하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해 봐야 한다. 써 봐야 한다. '해 보니깐 되던데요'란 말을 내 입으로 하고 싶다. 그래서 배우고 싶고 해 보고 싶다.
챗GPT가 세상에 공개된 그날도 사실 난 책으로 들었지만 도대체 어떻게 해야할지 도전하다 포기하고 지금까지 포기하면서도 마음은 이미 진행 중인 미래에 대한 불안 속에서 알고 실천해야한다는 것을 생각하고 있는데 참으로 어렵고 활용을 못했었는데 여기에 먼저 잘 못 쓰는 이유가 나오니 먼저 점검해본다.
IT기업들이 바쁘게 움직이는 것처럼 전 세계의 수많은 기업들 역시 기술변화에 따라서 업무와 비즈니스에 어떻게 이러한 기술들을 적용할 수 있을지 많은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IT기업들이 인공지능이라는 기술을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한 것과 같이 일반 기업들 역시도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일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인공지능이라는 기술을 알게 모르게 적용해 오고 있었던 것이다.
AI, 이미 직장 내에서 자리 잡았고 우리나라 또한 생성형 AI에 대한 뜨거운 관심에 비해서는 생각보다 생성형 AI의 사용률이 낮다는 것이다. 알고는 있는데 활용을 할 방법이 부족한듯 하다. 그래서 더 갈증이 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어려워하는 이유 2가지,
첫째 언어의 문제, 현재 대중들이 많이 접하고 있는 생성형 언어 모델의 출발점은 대부분 미국, 그러니까 영어권 국가에서 시작되었다. 
둘째, 질문해야 한다. 우리 스스로도 잘 알고 있는 문제인 '질문 능력'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질문하기를 두려워하고 꺼려하는 우리의 교육 시스템은 생성형 AI의 이용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생성형 AI 이용자는 자연스러운 말로 질문을 하고 답변을 받으며 의사소통을 이어나가야 한다. 질문하고 대답을 듣고 다시 피드백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우리에게 다소 생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AI에게 잡아먹히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부터 다시 AI에 대해 알아가고 어려운 2가지부터 차츰차츰 정리하고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리앤프리를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