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인생에 클래식이 있길 바래 - 모차르트, 베토벤, 쇼팽 우리가 사랑한 작곡가와 음표로 띄운 37통의 편지
조현영 지음 / 현대지성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래식으로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만드는 법
인간관계,사랑,일과 성공,인생을 더 깊게 하는 취향까지 변화를 가져볼 기회이다.
인생의 실패,방황, 불확실을 견디는 힘이 클래식에서 만나고 찾아보고 싶다.
우리가 사랑한 작곡가와 음표로 띄운 37통의 편지를 만나 본다.
우리가 고전이라고 부르는 것들은 다시 꺼내 읽고 들을 때마다 
새로운 인사이트를 전해준다. 우리가 주로 듣는 클래식 곡 대부분이 바로크 시기부터의 것인데, 바로크만 해도 지금으로부터 300~400년 전, 클래식은 시간을 통해 검증된 음악이다.
클래식은 침묵이 꼭 필요한 음악이다. 클래식을 듣다보면 덤으로 작곡가와 연주자의 인생까지 느낄 수 있으니 인생을 간접 체험할 수 있다는 것도 좋은 점이다.
인생에는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참 근사한 것들이 많다. 독서와 클래식음악을 통해 누군가 농축된 지혜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수단이며 장소와 시간을 불문하고 즐길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클래식은 악장의 구분이 있는 곡과 악장 구분 없이 단악장인 곡으로 나뉜다. 독주악기를 위한 소나타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곡은 대부분 3~4악장으로 구성
인생과 클래식은 닮아 일과 성공에 대하여 음악으로 힘을 얻어보게 된다.
드보르자크, 교향곡 9번 마단조 Op.95 <신세계로부터>4악장으로 힘을 많이 얻고 있는 한 사람이기에  이 곡이 꽃을 피우는 40대를 떠올리게 하는 곡, 고난을 이겨낸 50대를 떠올리게 하는 마러, 교향곡, 인생의 이치를 통달한 60대를 떠올리게 하는 교향곡등을 만나게 된다.
리스트가 파가니니의 연주를 듣고 '난 꼭 피아노계의 파가니니가 될 거야'라고 다짐하고는 어려운 기술을 필요로 하는 곡을 작곡했는데 <라 캄파넬라>가 바로 그곡, 파가니니가 작곡했던 바이올린 협주곡을 정말 좋아하는 곡인데 이 책으로 나의 마음을 다져본다.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