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수학은 처음이야 4 - 읽다 보면 저절로 수학 문해력이 쌓이는 '방정식'의 힘 이런 수학은 처음이야 4
최영기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 호기심을 수학 개념과 실력으로 완성
최상위권으로 가는 가장 확실한 방법
서울대 수학교육과 교수가 전하는 화제의 '이런 수학은 처음이야'시리즈 
수학적 문제 해결력이 쑥쑥 자라는 '수식'과 '방정식'의 세계
읽다보면 저절로 수학 문해력이 쌓이는 '방정식'의 힘을 기대해본다.

미래지향적인 수학적 능력이란 단순히 수학 지식을 습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학 지식을 다양한 상황에서 전이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이러한 능력은 문제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더불어 자기생각을 정당화하고 질문하면서 새로운 도전에 대처하는 과정,여기에 따르는 다양한 시행착오와 이를 통한 반성을 통해 쌓인다고 한다. 자신의 사고에 대한 확신과 자기 생각에 대한 책임감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원칙을 따르면 수식의 세계를 멋있게 느끼고 그 세계에 빠져들고 싶어질 것이다. 수식의 세계는 여러 다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문장은 주어와 그 주어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나타내는 서술어로 이루어져 있다 
2+3=5에서는 =기호가 두 수가 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서술어
이 수식을 문장으로표현하면 2와 3을 더하면 5와 같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문장은 다르다고 한다. 때때로 문장은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 그리움에 시간을 더하면 추억이 된다라는 말은 아름다운 표현일 수 있다. 
등호=는 등호의 양쪽에 있는 수나 수식어 서로 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호
문자를 사용하면 수학 문제를 더 쉽게 이해하고 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한 수나 상황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수학에서는 문자를 사용해서 보편적인 아이디어를 나타낸다. 그래서 문자를 도입한 것은 수학 세계에서 큰 혁명 중 하나,문자를 사용하면서 수학은 더 빨리 발전할 수 있었다고 한다.
애초에 수학을 이렇게 배웠더라면 하는 생각이 덜 정도인데 이 책 <이런 수학은 처음이야>시리즈 책으로 다시 수학을 배워나가고 아이들에게도 읽히게 하고 싶다. 



리앤프리를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