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Z를 경영하라 : MZ세대 리프레임 - MZ 리더가 바라본 MZ세대 경영법
김가현 지음 / 라온북 / 2024년 1월
평점 :

MZ세대의 범위 자체도 1981년생부터 2012년생까지 무려 30년이상 차이가 나는데 이들을 어떻게 '하나의 특징'으로 규정할 수 있을까? 여기에서 우리는 이 수많은 MZ중에서 '어떤 MZ'와 일하고 싶은지 규졍할 필요가 있다. 함께 일하고 싶은 MZ가 다니기를 원하는 직장은 어떤 모습인지, 우리 회사는 그들이 바라는 모습을 가지고 있는 회사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Z세대가 구분하는 코로나 세대는 어떤 특징을 지닐까, 코로나 세대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은 세대라는 의미의 신조어로 많은 세대가 영향을 받았지만 2020년이후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학창시절을 경험한 2002~2014년생을 주로 일컫는다.
MZ세대의 개인주의 강화와 하이퍼 퍼스낼리티 특징은 실제로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면접을 볼 때 우리 조직은 '성품'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팀원들의 감정적인 요소때문에 출근하기 싫어지는 회사는 만들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다.
면점 때 다 묻는 내용들이라서 '문자로 물어본다고 별다를 게 있을까?'라고 반신반의했지만 실제 당시 진행중이던 채용에 적용해 보았고 면접 전 문자 질문이 생각보다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한다.
님 문화, 영어 이름 문화등 여러방법이 있지만 실제로 수평적인 문화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았고 '수직적인 분위기'가 깨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기업 회장님을 영어이름으로 부른다고 해서 수직적인 위계가 깨지지 않듯이 말이다.

숏폼퍼스트인 Z세대를 필두로 MZ세대가 숏폼에 진심인 이유는 크게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특히나 최근 유행이나 트랜드는 모두 숏폼에서 시작되고 있기에 마케팅 및 소셜미디어관리측면에서 숏폼이 삶인 MZ세대구성원들에게 아이디어를 얻고 관련 업무를 배치하는 것도 상호시너지를 낼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
프리터족이란 프리+아르바이트의 합성어로 회사 취업처럼 고정적인 일자리 대신 알바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을 뜻한다.
왜 스펙 경쟁에서 뒤처진 사람은 아예 스펙 쌓기를 포기하게 되는 걸까, 여기에는 여러요인이 있을 수 있다.
MZ 세대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경영노하우를 익힐 수 있는 기회이다
리앤프리를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