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매력 - 세상의 모든 x값을 찾아 떠나는 여행
리여우화 지음, 김지혜 옮김 / 미디어숲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의 세계에서 찾은 매력과 무한한 가능성 천년을 뛰어 넘는 수학적 사고 여행을 떠나보자

수학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가?

가장 쉽고 편한 방법으로 수학과 친해지고 싶은가?

수학이 실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 지식이라고 생각하는가?


정말 만물은 수일까?

2500년전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피타고라스는 '만물은 수이다'라고 했다. 수천 년이 지났는데도 그의 이 말은 옳을까? 수 개념이 그때보다 훨씬 확장

끊임없이 반복 계산한 후에 계산기의 지수 저장 상환을 초과할 때까지 계산 결과가 점점 작아진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고 계산기는 결국 0을 나타낼 것이다.

r값과 서로 다른 초깃값x의 조합을 시도했고 결과 놀라운 발견을 하게 되었다.

계산기로 검증해 볼 수 있다.

 

해리포터의 다양한 언어 버전 중에서도 중국어 버전이 항상 가장 얇다 그렇다면 중국어가 가장 효율적인 언어라는 견해를 과학적인가?

새년의 공식은 특정 부호 시스템의 부호 빈도를 모두 계산해 공식에 대입하는 것이다. 

새년은 만약 어떤 부호 시스템에 단일 부호만 있다면 부호가 많을수록 정보 엔트로피는 큰 값을 가지는데 영어가 26개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1,000개의 알파벳으로 구성된다고 상상해 보자. 

단어 빈도에 대한 통계도 한 용인이다. 

정보 엔트로피에서 왜 언어는 '혼돈'스러울수록 정보량이 커질까? 이 점은 언어의 문맥벅 상관도에서 생각할 수 있다고 한다. 영어단어에서 알파벳 상관도는 매우 높다고 한다.

세상의 모든 x rkqt을 찾아 떠나는 여행으로 수학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법을 배워보고자 한다.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