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 분석의 기본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이시이 신이치로 지음, 김선숙 옮김, 박지혜 감수 / 성안당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료인, 스포츠인은 물론 일반인도 알아 두면 유용한 재미있는 인체 관련 지식 총망라 

'동작분석'이란 환자의 동작 패턴을 관찰해 

골적이나 뇌졸중으로 인해 운동 신경이 마비되거나 노화로 인해 관절 운동이 제한되고 근력이 저하되면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울 정도로 몸을 움직이는 데 문제가 생긴다. 

일상생활의 동작을 구성하는 요소적 동작은 뒤집기,일어나기, 일어서기,앉기,걷기인데 이 네가지 동작을 기본 동작이라고 한다. 일상생활 동작은 기본 동작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임상 현장에서는 먼저 이 네 가지 기본동작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인다. 이 과정 가운데 동작을 관찰하여 문제점을 도출하는 과정이 가장 어렵다고 한다.  동작 분석의 핵심은 그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아는 것이다.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동작분석

동작분석이란 무엇인가 생물과 무생물을 가르는 결정적인 차이는 자기 몸을 유지하기 위해 움직이느냐 움직이지 않느냐가 아닐까? 무생물은 시간이 흐르면 사라지지만 생물은 시간이 흐르더라도 몸을 스스로 움직여 생명을 이어 나간다. 

네 가지 동작에서 문제점을 찾는다 

동작 분석의 목적을 이해한다. 동작분석은 기본 동작이라 불리는 네 가지 동작(뒤집기,일어나기,일어서기 앉기, 걷기)을 방해하는 원인을 찾아 나가는 과정이다. 동작을 분석하는 자는 단순히 정상동작과 비교하는데 그치지 않고 동작 수행능력의 문제점을 참아내고 그 원인을 알아내 치료방법을 결정해야한다.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