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행복을 기억하지 않는다 - 뇌파 실험으로 밝힌 불편한 감정의 비밀
미츠쿠라 야스에 지음, 오시연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종일 기분 나쁜 상태가 꼬리표처럼 따라다닌 적이 있는가? 

자의로든 타의로든 계속되는 그 감정은 왜 발산되는 걸까?

뇌파가 생생하게 그 감정의 정체를 알려준다.

가만히 있기만 했는데 스트레스가 밀려온다면?  원인은 뇌가 발산하는 "부정적 텔레파시"때문이라고 한다. 사실 이럴땐 아무것도 못하고 무기력해지면서 완전히 가라앉아버리게 만들어 버린다.

그리고 뇌는 행복을 기억하지 않는다고 하니 그렇다면 우리는 의도적으로라도 행복한 척을 해야하는걸까?를 생각하게 되며 뇌에 대해 다시 생각할 기회인듯 하다

이 모습에 난 옹졸한가를 많이 생각했었다. 남들은 아닌듯 한데 난 확실하게 이런 모습이 보여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모습이 '기분 나쁜 티를 내는 폭력?'이라고 한다. 즉 "기분 폭력"

모든 사람이 피해자가 될 수 있고, 가해자도 될 수 있는 바로 기분폭력의 특징이라고 한다.

이것은 그냥 넘길 수 없는 일이라고 한다. 

기븐 나쁜 감정 자체가 다른 사람의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 뇌파는 이 사실을 명확히 보여준다고 한다.

감정은 뇌에서 생긴다. 뇌에 뻗어 있는 신경 세포 사이에서는 향상 다양한 정보가 약한 전기 신호 형태로 끊임없이 교환되며 뇌파로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감정을 시각화하면서 바로 알게 된 것은 인간의 감정 주체는 부정적인 감정이라는 것, 

기분폭력확인 테스트가 수록 되어져 있는데 기분폭력의 피해자인가? 가해자인가?를 볼 때 하나라도 해당되면 기분 폭력 '피해자,가해자'일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 하나 정도는 다들 있지 않는가 싶다마는 그걸 기분 폭력 피해자,가해자로 보기에는 조금 그렇다고 본다.

이건 왠지 테스트로 보기엔 조금 허술한 것 같다.


지금 방장 기분 폭력이 무엇인지 읽고 싶다는 사람은 2장부터 읽어도 상관없다고 하여 2장으로 넘어간다.

감정은 자극에 더욱 많이 흔들린다고 한다. 부정적인 자극에는 민감하고, 긍정적인 자극에는 둔감하다고 한다.

1장을 다시 돌아가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뇌와 감정에 관한 연구를 자세히 살펴봐야할 것 같고 뇌의 습성을 알고  기분 폭력의 원인은 바로 사람이라는 것이다. 

우리 뇌는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얼마나 뇌파에 도움이 되는지도 알게 된다.

뇌는 행복을 기억하지 않는다고 하니 그냥 가만히 있으면 뇌는 어쩔 수 없이 자꾸 부정으로 바뀔 수 밖에 없다는 것, 그러니 뇌파에 행복을 기억할 수 있도록 무한한 감사와 긍정적인 감정을 지속적으로 이어지게 해야할 것 같다. 이번 기회에 뇌에 대해 공부해 뇌를 행복하게 해 주고 싶다.

 

 

리앤프리를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