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기적 리더 - 구성원과 조직을 키우는
김한솔 지음 / 책세상 / 2023년 8월
평점 :

무조건 희생은 구식이다
리더의 이기심 덕분에 자신과 구성원의 성장, 조직의 성과가 극대화된다.
일하기도 바쁜 리더가 왜 조직 문화를 챙겨야할까? 구성원들이 일을 더 잘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 내 일 챙기기도 버거운데 왜 굳이 코칭을 하고 면담을 해야할까? 이런 마음이 드는 리더가 있을 것이다. 사실 나또한 그런 마음이 들긴하지만 막상 리더가 되면 그래도 우리 팀은 잘하고 싶고 구성원들이 모두 성장하는 모습에 힘이 나고 함께 힘을 쏟아주면서 서로 의지하면서 성장해 나가는 모습에 리더를 하는 것 같다.
리더인 내가 원하는 모습, 리더 자신에게 좋은 결과,리더인 나에게 좋은 일을 한번 고민하고 생각해볼때인 것 같다.

사실 이런 모습 자주 나타나지 않는가? 나를 보는 듯한데 왠지 이 부분이 문제가 되는듯하여 요즘은 조심스럽게 돌려 이야기 하기도 하는데 어색한 질문이 오고 간 후 대화 끝을 볼때 소통의 스킬을 통해 "마음"임을 알게 된다.소통 수킬이 부족해도 통하는 대화를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의례적으로 "괜찮아요?라고 묻는게 아니라 "reallly happy"를 계속 묻고 또 묻는게 이들의문화라고 한다. 리더들이 착해서일까? 아니다 그게 조직의 성과 창출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소통하고 싶은데 마음대로 잘 되지 않아 안타까울 때가 한 두번이 아니고 특히 식구,가까이서 함께 일하는 상사,동료에서 많이 힘들어한다.
소통의 시작은 관심이라고 한다.
전날밤 아이가 아파 응급실에 다녀온 동료를 만났다면 무엇이라고 할 것인가? 다들 내 얘기부터 하고 싶어하고 나도 예전에 많이 그랬어라고 하면 진자 소통이 잘 안 되는 사람이라고 한다. 진짜 소통을 하고 싶다면 내 얘기를 참고 그냥 "정말? 어쩌다 많이 아픈거야?"라고 몇 번의 짧은 감탄사만으로도 상대에겐 충분히 공감하고 있음을 드러낼 수 있다고 한다.

미디어로 배우는 리더십을 슬기로운 의사생활을 보면서 누구나 한번쯤 리더십을 느낀 부분이 많았을 것이다. 직접 적어두기도 했었는데 올바르게 질문하고 감정을 자극해 설득하는 것을 미디어로 배워본다 다양한 미디어로 리더십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있으니 다시 한번 더 이기적인 리더를 생각해볼 때이다.
리앤프리를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