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 죽을 만큼, 죽일 만큼 서로를 사랑했던 엄마와 딸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진환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받고 싶은 딸과 외면하는 엄마, 그 속에 감춰진 불편한 진실

일본에서 가장 주목받는 작가 미나토 가나에의 소설, 그녀의 글에 빠져드는 이유도 그저 흥미와 자극만을 추구하지 않고 치밀한 플롯으로 수백만 독자에게 충격을 안겼던 <고백>은 우리에게 ‘아이들의 학교폭력 문제를 어떻게 할 것이냐’라는 과제를 남겼다고 한다.  이번에는 그녀가 인간의 위대한 본성이라는 ‘모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모성이란 인간이 만들어낸 신화에 불과한 건 아닌지, 애초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주입된 감정은 아닐 거라 믿는다.

도대체 ‘모성이란 무엇인가? 본능인가, 만들어진 것인가?’


모성애 관하여 

"저는 딸아이에게 모든 걸 바쳐 정말 애지중지 키웠습니다" 이 말에 신부님은 "왜 그러셨지요?" 단순한 질문일 수도 있겠지만 대답이 바로 나오지 않더란다

왜?,왜?,왜?란 질문에 당연히 나쁜 짓을 추궁하는게 아닐까 그리고 나쁜 짓에 대한 이유르 ㄹ물을때와는 명백히 다른부분 바로 질문하는 살마도 이미 답을 짐작하고 있다는 점

어머니를 위해서,어릴적부터 그림,작문,읽기,쓰기,공부,운동에 이르기까지 오로지 어머니가 기뻐하고 칭찬해주길 바라며 노력해왔다는것이다


주위에서의 반대,내가 좋아서가 아니라,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프로포즈를 할때 나의 감정이 아니라 어머니의 감정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모습,

"잘할 수 있지, 넌 이 엄마를 이렇게나 행복하게 해주잖니, 널 좋아해주는 사람을 네가 행복하게 해주지 못할리가 없어!" 용기를 주는 사람, 어머니야말로 태양이라고 표현한다.

타도코로는 "아름다운 우리 집을 만들고 싶군" 이 말을 듣자 역시 어머니의 생각이 옳았다는 확신이 몸속 깊은 곳에서부터 차오르며 타도코로와의 결혼을 결심

그런데 신부님, "아름다운 우리 집"은 어떤 집일까요?

타도코로에게서 그 말을 들었을 때 머릿속으로 한 장의 그림을 떠올려쓴ㄴ데 그 그림에서는 꽃이 흐드러지게 핀 집의 정원을 배경으로 타도코로와 우리 아이들, 그리고 제 어머니가 평화롭게 미소짓는 모습을 환한 태양이 비추고 있었다. 가족들끼리 사랑을 주고 받는 기쁨이 자연스레 배어나오는 모습을 아름답다고 느낀 것이다. 

출산후 어머니의 사랑으로 충만해지며 이 세상에 태어나, 어머니의 사랑을 받으며 성장하고, 뱃속에 깃든 새 생명에게 어머니께 받은 사랑을 나눠주며 품고, 모든 것을 다 내어주며 이 세상에 내 놓았다. 

아이를 세상에 내 놓음으로써 제 몸은 또 한 번 어머니의 사랑으로 충만해졌으니깐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날이 아닐까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