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풀지 말고 실험해 봐 2 - 12가지 생활 속 수학 감각 키우기 수학, 풀지 말고 실험해 봐 2
라이이웨이 지음, 김지혜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의 흥미를 일깨우는 일상생활 속 수학실험 12가지 

[문제를 푸는 대신 손과 머리를 써서 실험해 보면 수학의 쓸모와 재미를 알게 된다]

수학은 순수한 정신 노동이다 과학처럼 실험실이 필요한 개 아니라 커피 한 잔에  편안한 의자 하나만 있어도 충분하다 

수학공부가 종이와 펜만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수학을 마냥 풀어야한다고만 고정관렴이 되어버린 현재, 이렇게 수학의 흥미를 일으킬 수 있는 일상생확속 수학 실험을 알아보면 좋을 것 같다

 

자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런 성장 패턴을 발견한 사람은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그는 패턴이 나타내는 수학적 규칙을 찾아냈는데 이것이 바로 "피보나치 수열"이다

수열은 일련의 숫자 배열을 말하는 것으로 수들 간의 관계와 법칙을 보여주고 있다

피보나치의 토끼

갓 태어난 토끼 한쌍이 있다고 하자 

생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큰 토끼가 되어 번식시작 이후 일정시간간격으로 토끼 한쌍을 낳고 갓 태어난 토끼는 같은 규칙에 따라 자라고 번식하면서 토끼의 수는 어떻게 변할까? 이것이 바로 피보나치 수열로 쓸 수 있다 

파인애플과 토끼의 예만 있을까 

파인애플의 나선 수를 8,13으로 확인 했을것이며 더 가파른 나선으로 21이라는 수를 세어 볼 수도 있다 

피보나치 수열에서 여섯번째,일곱번째,여덟번째 수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파인애플이 어떻게 덧셈을 하는지 여전히 알 수 없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사실 파인애플은 수학을 모른다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 생물이 성장할 때 자연법칙에 따르는 현상임을 알게 된다 


수학은 우리가 사물 뒤에 숨은 패턴을 발굴하도록 한다 

많은 사람들이 수학을 싫어하는데 그 이유가 수학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일상생활에서 그 연관성을 찾기가 힘들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 수학은 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우리가 생활하는 모든 것이 수학으로 이뤄져 있슴을 알 수 있다 

생활 속에 수학적 감각을 키우기 위해 12가지를 통해 알아보고 수학을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