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교회 트렌드 2023 - 정확한 조사 데이터에 근거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2023년 한국 교회 전망과 전략
지용근 외 지음 / 규장(규장문화사) / 2022년 9월
평점 :

탈 기독교 현상은 포스트모더니즘이 시작된 이후 서구 기독교가 쇠퇴하고 다양한 사상과 문화의 등장, 세속화의 확산 등으로 나타났고 코로나이후 더욱 가속화되었고 한국교회 역시 2000년대 이후 교회의 윤리적인 문제와 더불어 정보통신의 비약적인 발전과 삶의 질적 변화 다양한 문화 환경의 변화와 MZ세대의 등장등 급변하는 흐름에 대응하지 못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교회의 현재와 미래를 전망하는 <한국교회 트렌드 2023>을 기획하면서 많은 목회자,학자,출판계 교단의 관계자들을 만나게 되어 출간까지 하게 된다
현재 2030 MZ세대들은 디지털 세대이다 50대 이상 교회의 리더십 그룹은 아날로그 세대, 젊은 세대들은 "이건 온라인이야","저건 오프라인이야" 이런 식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그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간의 전환이 매우 매끄럽다
플로팅 크리스천은 "붕 떠 있는 크리스찬","여기저기 떠도는 크리스찬"이라는 뜻이다,
"플로팅" 공중이나 물에 떠 있는, 떠도는 유동적인 이라는 뜻을 가진 형용사
코로나 19로 비록 신앙생활의 고정적인 패턴이 바뀌었을지라도 신앙생활 자체를 포기하지 않은 사람들이라고 정의를 할 수 있다

두 종류의 플로팅 크리스천,,,
가나안 성도와 유사하지만 가나안 성도보다 예배드리는 사람이 더 많다. 교회에 등록되어 있지만 교회예배참석에 비교적 자유롭고 교회에서 특별한 활동을 하지 않는다. 가나안 성도보다 신앙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이 더 많으며 온라인 예배를 더 많이 드리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지금 이런 현실을 보게 된다

교회내에서 활발한 대인관계를 하지 않았다는 증거가 되며 결과적으로 부평초형 플로팅 크리스천들은 교회안에서 인간관계를 활발히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더 많다고 한다
그리고 현대사회의 특징 중 하나로 정보의 과잉으로 인터넷이나 다양한 매스 미디어의 증가로 인해 한 영역에서 생산된 정보가 대단히 빠르게 확산되며 그런 가운데 성향이 비슷한 사람끼리 정보를 주고받고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