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다른 세계에 산다 - 자폐인이 보는 세상은 어떻게 다른가?
조제프 쇼바네크 지음, 이정은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자페인이 촘촘히 기록한, 자페인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흥미로운 관점

독학으로 10개 국어를 구사하고 바말로레이(프랑스의 수능)를 우수한 성적으로 통과했지만 빵 한 조각 사는 일은 여전히 낯설다,,,그가 소개하는 우리가 각자 독특하고 소중한 존재인 이유를 알려준다

"삶이 반복적으로 무너져 내릴때 인생을 긍정하는 지혜를 그에게서 배웠다"

아무에게도 보여준 적 없는 자신의 내면세계를 활짝 열어 보인 한 자페 지성인의 증언

저자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붙인 이름 "천재적인 자폐인"을 거부하고 오히려 아스퍼거 장애를 지닌 자폐인이 일상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유머러스하고 섬세하게 다룬다 

 

이 책은 평생 "자폐"라는 세계에서 살아온 한 인간의 깊은 이야기

그는 세상에 자폐 "인"은 없고 자폐를 "지닌" 나 자신이 있을 뿐이라고 당당하게 말한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드라마에 일부 에피소드를 제공한 변호사로 이 책을 읽고 나면 각자의 인생이 훨씬 더 소중하고 아름답게 보일 것이라는 말을 전하는데 기대가 된다 

사람들은 조제프가 아스퍼거증후군을"지녔고"아스퍼거증후군을 "지닌 채로" 살아가며 아스퍼거증후군 "환자라고"말한다 그게 무슨 뜻일까?

우리는 모두 독특한 존재이다 <정체성과 폭력>에서 아마르티아 센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맺는 관계에 따라 여러개의 변화하는 정체성(가족,직업,문화적,생물학적,철학적,지역적,영적정체성등)을 지닌다고 말한다. 그 여러 정체성 중 하나만이 유일한 정체성인 양 사람들을 그 안에 가두어두려는 유혹, 또는 그들이 거기에 스스로 갇히도록 내버려두는 유혹이야말로 세상에서 벌어지는 차별과 폭력의 주요 원인이라고 센은 분석한다 

조제프도 마찬가지로 아스퍼거증후군이라는 독특함은 조제프라는 존재의 일부요, 취약한 부분이지만 한편으로는 그가 가진 풍성함, 엄청난 노력 그리고 그가 세상과 자신, 타인을 바라보는 시선의 깊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영화 제작자 소피레빌은 영화를 제작하려고 자료 조사하면서 조세프 쇼바네크와 처음 만나면서 선입견이 흔들렸고 작업 방향을 상당 부분 결정할 수 있었다고 한다

우리는 독톡한 존재를 어느 틀에 맞추기 위해 엄청나게 노력하면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말을 못하면서중세 라틴어 문서를 읽는 모습도 있을 것이다

자폐아동들처럼 특이하지는 않았지만 나만의 독특함이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게 된다

"쇼바네크"를  자신의 성을 적었다

이렇듯 독서와 글쓰기로 학습했다고 한다 

지금까지도 말을 듣는 것보다 글로 읽는 것이 더 쉽고 말하기와 글쓰기도 마찬가지 손으로 직접 쓰거나 자판으로 입력하는 것이 말보다 쉽다고 한다 

얼마전에 우영우라는 드라마에서도 보았지만 엄청난 암기력을 보이고 있는데 그들만의 다른 세계, 독특한 세계를 이 책을 통해 알아간다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