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영혼을 다독이는 관계 심리학 - 나르시시즘과 외로움
우즈훙 지음, 박나영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외로울수록 내면에 어둠이 많아진다"

백만 독자의 마음을 열고 변화를 이끌어낸 천재 심리학자 우즈홍의 날카로운 분석,진솔한 표현으로 상처받은 영혼을 치유하자

사랑하는데도 외롭다면 이유가 있다 

"마음속 깊은 곳에 소중한 사람이 없다면 그 삶은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삶의 문제에 직면할 때마다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고 한다"

절망 속 외로움에서 진정한 사랑으로 가는 심리학 수업 

아무리 힘들어도 바깥세상으로 나가야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나르키소스는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하지만 사랑을 얻지 못해 목숨을 잃게 된다 

그후 미소년 나르키소스는 자신과 같은 이름의 꽃인 수선화가 된다 

독일의 정신과 의사 네케는 1899년 자기애가 넘친 나르키소스를 연상해 "나르시시즘"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 

 

높은 수준의 나르시시즘을 지닌 사람은 자신이 훌륭하다는 생각에 늘 열정이 넘친다 

낮은 수준의 나르시시즘을 놓인 사람은 자신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자신감이 없고 더한 경우 수치심까지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능적으로 사람들은 높은 나르시시즘의 상태를 저향하려 한다 

이 책에서는 나르시시즘과 외로움의 상태를 진단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이 제시되어 있다

혼자서 고민하고 어느 누군가에게도 말하지 못해 전전긍긍했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법을 찾도록 집필되어져 있다 

 

나르시시즘은 경쟁 사회에서 자신을 지키는 힘이다 

사회에서 상대적관점으로 자신을 바라보면 부족한 능력이나 허점의 구멍이 커 보이는데 

이에 대처하는 두가지 방법

하나,,,자신을 아낌없이 보듬고 보호하기 위해 자기애에 푹 빠지는 나르시시즘

다른 하나,,,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자존감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나르시시즘

자신을 보호하려는 나르시시즘이 강해지면 부정적인 감정이 양산된다 

이로 인해 사회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단절과 고립된 상황을 부른다 

반면 자신의 부족한 부분까지 인정하는 나르시시즘은 실행력과 적극성을 부여해 주위의 인정과 사랑을 끌어내기도 한다 

위기를 극복하고 절망을 이겨내는 유용함도 나르시시즘에서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