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 - 그들은 어떻게 부자가 되었나?
이준구.강호성 엮음 / 스타북스 / 2021년 12월
평점 :

조선시대부자 그들의 삶의 해학과 "돈" 이야기를 들어보려 한다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은 경제학을 모르는 사람들이다
역사학도 모르는 사람이며 그런 학문을 전공한 일은 더더구나 없다
그러므로 이 책은 고매한 교수가 교단에 서서 어느 고전적 이론을 체계화하고 합리화하여 쏟아내는 박학한 경제,역사 강의서가 아니다
또 거창한 기업 용어들이 나열된 서구의 부자이야기도 아니다
조선왕조 풍토 위에서 "미투리 경제학"과 함께 명멸한 바로 우리들의 이야기
부자도 일반 사람들과 똑같은 속성을 지닌 평범한 사람들이다
단돈 만원짜리 밑천도 못 되는 삯 지게를 지는 품팔이 신세일망정 부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누구에게나 있다
아무도 내 호주머니 속에 담긴 1천원이 아니 내 예금통장에 있는 1만원이 장차 나를 어떤 부자로 둔갑시킬 힘이 있는지 아무도 알 수 없다
이처럼 돈의 가변성은 인간의 상상을 초월한다
이 책에 기술한 내용은 단순한 거부의 평전에 그친 것이 아니라 한 시대의 경제사이며 문화사고 내 고장의 풍토사이며, 지학,인물,세태,풍속,산물등이 문학적으로 얽혀 살아 있는 그대로의 거부들을 볼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져 있어 조선 부자의 세상을 읽는 지혜를 얻고자 한다

종계변무를 해결한 홍순언이 사는 동네를 사람들은 "보은단동"이라 불렀고 이는 보은 단골이 변하여 "고운담골"로 현재 서울 중구 을지로 1가 일대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마을 이름으로 현재 롯데호텔 앞에 표석이 있다고 한다

몹시 가난했지만 온갖 고생을 무릅쓰고 주인의 눈에 들기까지 다 이겨낸 조선부자의 모습을 보게 된다
아낄때에는 한없이 아끼다가도 한번 마음이 통하면 선 자리에서 1천금을 내 던져주기는 예사
특히 말한마디의 소중함 또한 느낀다
함부로 "빌미"가 될 만한 말은 하면 안되겠다
그리고 재물의 내리막길의 시작된 줄도 얼른 알아차리고 당장 베푸는 행동에 옮기는 모습
이 책을 읽어보면 모두가 많은 재물로 조선의 부자가 된 것이 아니다
그동안 잘못 생각하고 하였던 것을 깨닫고 조선의부자들의 지혜를 얻고 다시 부자에 대해
생각하게 되며 지혜로운 부자가 되고 싶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