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란의 경제 - 과거 위기와 저항을 통해 바라본 미래 경제 혁명
제이슨 솅커 지음, 최진선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1년 5월
평점 :

과거 위기와 저항을 통해 바라본 미래경제혁명
저항과 혁명의 역사로 배우는 미래경제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팬데믹에 이르렀다
각 나라는 경제폐쇄를 감행하며 감염확산을 막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이고 있다
생명을 구하고 의료시스템을 최대한 가동하며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하게 시행중이다
목표는 경제와 의료시스템 모두를 지켜내는 것이다
과거에도 경제불황과 팬테믹은 있었다
세계는 이를 극복해냈고 승리했다
현시점에서는 과거를 학습하며 미래를 위한 디딤돌을 놓아야 한다
이것만이 위기에 대처하는 현명한 일이다
이 책의 목표가 여기에 있다
과거에 있었던 일들이 단기적,중기적,장기적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알아내는
것이다
"저항과 혁명을 부르는 경제"의 측면에서 바라보았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저항과 혁명 이면에 영향을 준 사실 관계를 다루었다
저항과 혁명의 역사는 미래 경제의 나침반
경제는 두려움과 탐욕에 의해 움직인다
코로나 19사태는 인간에게 심각한 고통을 안겨주었다
이책의 주제인 불안정한 지금, 미래에 알 수 있는 시나리오를 쓰기 위해 과거 저항과 혁명을 둘러싼 15가지 역사적 사실관계를 분석해준다고 한다
이 책은 총 4 PART로 구성
현재 경제와 사회에 얽힌 역학 관계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미래를 전망하고 분석한다
미래를 위협하는 가장 큰 발단과 동기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하고
과거를 분석하고 현재를 논의하며 미래를 내다보도록 돕고 있으니
앞을 어떤 미래를 맞이하든지 준비된 현명한 리더가 되고 싶어 이 책으로 도움 받고 싶다

민생안정을 위한 조건중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수요소인 의식주를 감당하는 기둥인
경제를 먼저 중요하게 여기게 된다

저항과 혁명의 유발 요인
분석 범위를 먼저 정하고 과거 저항과 혁명 사례를 고찰
산업혁명의 시작으로 도시 노동자가 증가하면서 인구에 큰 변동이 일어났다
이는 민족주의와 마르크스주의를 비롯한 혁명 이념의 은밀한 토대가 되었다
1847년 발생한 경제 공황으로 식량이 부족해지면서 공급이 힘들어졌다
이 "경제적 빈곤상태"는 1848년 혁명을 촉발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