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놀라운 뇌 불안한 뇌 아픈 뇌 - 소아청소년정신과 명의 서울대병원 김붕년 교수의 당황하는 부모를 위한 ‘10대의 뇌 처방전’
김붕년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발달과 심리발달을 통합하는 정신건강 연규를 통해 

생애 두번의 폭발적인 변화와 발전의 기회를 맞는 두 시기인 

유.소아기와 10대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저자는 

10대 뇌의 지각변동은 본인과 부모가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급격하게 일어나고 이 시기는 기회이자 위기이기도 한데 많은 부모가 사춘기 자녀를 힘겨워하고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서 기회를 놓치거나,정신 건강 문제를 악화시켜서 병원을 찾기도 한다고 한다 

10대 자녀의 행동이 이해가 안되고 심지어 자해적.폭력적으로 변화하는 이유를 저자는 뇌와 심리 적응의 변화를 통해 설명한다 


0~3세 1차, 10대 2차 평생 두 차례 격변을 통한 뇌 발달을 확인해 보자 

사춘기 자녀를 두고 걱정하는 부모에게 두가지 당부

1,,,사춘기에는 어느 정도 달라 보이는 것, 이상해 보이는 것이 정상일 수 있다는 것

2,,,사춘기 발달이 잘 이루어지려면 영.유아기와 소아기부터

아이의 뇌를 잘 만들어야 한다는 것

유유. 소아기 단계의 뇌 발달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청소년기의 과업,성인기의 과업을

차례대로 잘 수행할 수 있다

 

아이의 뇌는 타고 나는 것일까?

부모가 일관되게 정서적 안정감을 가지고 아이에게 애정과 지지를 표현할때 아이와 "안정애착"을 맺게 되며 부모가 감정 기족에 따라 일관되지 않은 태도로 아이를 대하면 아이는 부모와 "불안정 회피 애착"을 맺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6개월까지의 영/우아기는 아이가 부모에게 모든 면에서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때인 만큼

신체 발달은 물론 정서발달면에서도 시기에 맞는 적절하고 좋은 자극을 주어야 한다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말이 다 맞는 것은 아니지만 인간의 발달에서는 꽤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신경가소성이란,,,환경의 자극에 요구에 따라 뇌의 구조와 기능을 스스로 변화 시키는 것을 말한다 

성인에게도 신경가소성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어린 시절 기뻤던 기억과 아픈 기억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때 어린 시절의 상처를 어른이 되어서 잘 소화 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로 신경가소성이라고 한다 

대뇌의 구조

연령대에 따라 가지치기하는 뇌의 각부위가 다르다 

 

 아기의 두뇌발달에 가장 좋은 자극이 바로 부모와의 스킨십이다 

부모의 따뜻하고 다정한 스킨십을 통해 아이는 안정감,행복감을 느끼고 부모와의 애착을 쌓는 첫걸음을 뗀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도전해 보는 것은 어떨지,,,

 

10대 이전에 부모와 자녀가 소통을 잘하고

아이가 부모에게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고 수용받아 본 경험이 많다면

아이는 부모와의 관계습관을 그대로 이어가 청소년기의 어려움도 부모에게 잘 털어놓을 수 있게 된다

 

부모는 아이를 키우기 쉬운 아이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내 아이가 자신의 기질을 잘 다루면서 내재된 능력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