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기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입니다 - 지금은 사라졌지만 꼭 기억해야 하는 우리의 역사
은동진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20년 6월
평점 :
지금은 사라졌지만 꼭 기억해야 하는 우리의 역사,,,
은동진 선생님이 들려주는 임정 로드 27년의 기록
상하이에서 이동 시기를 거쳐 충칭까지
찬란하고 비장했던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발자취
초.중.고 총 12년 동안 교과서를 통해 임시정부를 만나왔지만 우리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
그저 시험에 나오는 이봉창,윤봉길의사의 의거만 기억할 뿐 임시 정부 예하에서 활동한 한인 애국단원이 80명이나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 책은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한다
1910년 국권 피탈 시기부터 1945년 광복이 되기꺄지의 잔혹 했던 일본 식민 통치라는 큰 틀 속에서 임시 정부의상하이 시기(1919~1932),이동시기(1932~1940),충칭시기(1940~1945),광복이후 대한민국 정부수립시기(1945~1948)를 함께 따라갈 것이다
3.1운동을 통해 독립국임을 대내외적으로 선포했다
하지만 계획과는 달리 민족 대표 33인이 함께하지 못했고 구심점이 되는 정부나 조직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 민족의 열망과 의지를 한 곳에 결집 시킬 수 없었다는 것이 아쉬움으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독립운동의 필요성을 느꼈고 그 결과 3~4월에 국내외 각지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고 한다
그동안 3.1 운동에 가졌던 의문이 풀리기 시작한다

위 사진 1920년 상하이 와이탄 전경
아래 사진 상하이 와이탄의 현재 모습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 3.1 독립 선언의 대표인 손병희를 대통령으로 추대
향후 미국 지역이 독립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미국에서 인망이 높은 이승만과 안창호를 국무총리와 내무총장에 각각 선입했다
이들은 연해주에서 활동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권은 군무총장 이동휘,탁지총장 윤현진,
산업총장 남형우,참모총장 유동열등이 주도했다
독립의지를 분출했던 3.1운동은 상하이 독립운동가에게 큰 자극이 되었고 정부수립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