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 노는 애 안 노는 애 못 노는 애 - 아이들의 관계 맷집을 키우는 놀이 수업
얼씨구 지음, 최광민 그림 / 한울림 / 2018년 10월
평점 :
놀이에는 관계의 맷집을 키우는 힘이 있다
노는 만큼 성공한다? 상식을 깨는 역설 같지만 서서히 인식의 틀이 바뀌고 있다
무엇보다 공부와 성공이 비례하지 않는다
공부를 잘하는 아이가 성공하고 공부를 안하고 놀기만 하는 아이는 인생의 패배자가 된다는
인생 공식 같은 건 애초부터 없었다
잘 놀았던 아이들이 인기도 많고, 사업도 성공하고 직장 생활도 잘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아이들에게 놀이는 본능이고 산소이며 비타민이다
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끊임없이 모험하고 도전한다
다쳐보고 부딪쳐보면서 관계를 맺고 싸워보고 갈등하면서 관계의 기술을 발전시킨다
탐을 나누어 놀이를 하면서 타인과 사회를 알고 협력의 힘을 배운다
나,너,우리를 알고 세상 살아가는 법을 배우고 인생의 참 공부를 한다
아이를 하나만 키우는 시대가 되면서 아이들이 점점 이기적이 되어간다
타인과의 갈등을 풀어내는 마음의 기술도 약해지고 있다
화가난다고 친구 얼굴에 침을 뱉고 친구를 마구 때리기도 한다
아이들의 폭력성이 걱정할만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모두가 한창 자랄 나이에 충분히 놀지 못해서 생긴 현상이 아닐까
1~3장은 그 중에 특별히 기어겡 남는 아이들의 사례를 모은 것이고
4~5장은 아이들의 놀 권리와 우리나라 놀이문화에 대한 나의 고민과 사유이다
놀이활동가로서 내가 현장에서 일상에서 직접 경험하고 부딪친 사례를 함께 담겨져 있다
"잘 노는 걸 보니 너 참 크게 되겠구나
잘 노는 걸 보니 넌 커서 사회성이 참 좋겠구나
잘 노는 걸 보니 잘 살겠네" 라는 말이 넘치는 세상을 말한다
일상의 권력을 놀이 속에서 깰 때 아이들은 희열을 느낀다
놀이라는 비일상에서나마 강자를 이겨보는 경험이 얼마나 짜릿하겠는가
안전과 모험은 반대의 의미 같지만 아이들 입장에서 보면
꼭 그렇지도 않다
아이들은 모험하고 도전하면서 안전에 대비하는 힘을 기르기 때문이다
도전하고 모험하지 않은 아이들은 실패를 두려워하게 되고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놀이를 통해 체득한 모험과 도전은 아이들에게 평생의
재산이 된다
논다는 것은 서로가 서로의 몸을 건드리고 마음을 건드리는 일이다
그 과정에서 서로 더 친밀해지기도 하지만 관계가 삐그덕거리는 일도 생긴다
이런 경험을 많이 해 봐야 어떤 유형의 사람과도 잘 어울리고 양보하고 의견 충돌이 생겼을때
협의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놀이에는 관계의 맷집을 키워주는 마법 같은 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