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달리는가 - 동물들이 가르쳐준 달리기와 진화에 관한 이야기
베른트 하인리히 지음, 정병선 옮김 / 이끼북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달리기야말로 인생에 대한 가장 위대한 은유이다.

벗어나려면 몰입해야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인생이기 때문이다

- 오프라 윈프리

 

1. 달리기에 대한 기억 (초등학교)

초등학교 운동회에는 꼭 달리기가 있었다.

대여섯명씩 죽 서 있다가 출발 신호와 함께 달리는 것.

공부를 꽤 잘 했기 때문에 항상 자부심을 가지셨던 부모님이

그때만큼은 되도록이면 뒤켠에 서 계시게 되는 때이다.

달리기 잘 해서 손목에 1, 2등 도장받는 아이들을 보면 어찌나 부러운지.

차라리 넘어지기라도 해서 탈락하면 덜 창피할텐데

키는 멀쑥하니 커서 꼴찌하는 내 모습이 너무 창피했다.

 

2. 달리기에 대한 기억 (, 고등학교)

이때에는 체력장이라는 복병이 있다.

100미터 달리기와 400~600미터 달리기,

이 책에 의하면 단거리와 중거리 달리기이다.

체력장의 다른 종목들 성적을 잘 받으면 으레 중거리 달리기는 면제받는다.

그래도 연습할 때는 세 바퀴, 네 바퀴를 달리게 되는데

그렇게 달리고 나면 숨이 턱에 닿도록 차오르고 다리가 후들거렸다.

 

이렇게 운동 신경이 젬병인 나는 달리기에는 정말 마음붙일 수가 없는데

우리는 왜 달리는가의 저자 베른트 하인리히는

원래 달리기를 좋아하고 장거리 달리기에 소질이 있었으며,

전공인 생물학에서 장거리 달리기(또는 비행)를 타고난 동물들에게서 여러 지식을 얻어서 결국 100킬로미터 울트라마라톤에서 우승하게 된다.

그는 모든 걸음이 중요하다. 각각의 발걸음은 아름다운 행동이다. 이 걸음들이 모여 보폭을 만들고, 전체로서 속도가 된다는 마음으로 달리기를 진실과 아름다움, 조화가 자리잡은 신성한 행위로 격상시켰다.

그는 중거리 달리기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 그 특기로 대학에 진학했지만

부상을 입어 운동을 포기하고 생물학을 전공하여 생물학자가 된다.

그렇지만 그에게 있어서 달리기는 놀이와 같았다. ‘많은 동물들에게 놀이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놀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숙련된 기능이 완성되는데, 그 원동력은 재미이다. 재미는 다수의 궁극적 이익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직접적인 메커니즘이다라는 생각으로 마라톤과 울트라마라톤을 수행하였다.

그는 달리는 것이 즐겁기 때문에 달렸고, 더 잘 달리기 위해 박각시나방 (체온과 운동능력과의 관계), 가지뿔영양 (달리기 속도와 지구력), 낙타 (수분 및 에너지 고갈과 관련된 과열 상태 해결), 철새들 (장거리 비행 전에 지방을 축적하는 것) 등에서 얻은 지식들을 자신의 1981년 전미 100킬로미터 울트라마라톤에서 시험하였고, 41세에 우승이라는 값진 성과를 얻었다.

이 책은 그의 인생에서 달리기가 차지하는 의미와, 울트라마라톤에서 우승하기까지 사용한 전략들을 얻게 된 과정에 대해 설명한 책으로 볼 수 있다. 그 전략들은 생물학자로서의 전문 지식에서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지식들도 많았고, 고대 인류의 직립 보행에 이르기까지 폭이 넓었다.

 

하고 싶은 일을 하는 모습, 목표를 성취하는 모습은 너무나도 멋지고 부러웠다.

달리기에 한해서는 나와 다른 세계를 맛보는 즐거움도 컸다. 이제 달리기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봐야겠다. 어쩌면 나는 단거리 달리기보다는 장거리 달리기에 알맞은 체질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