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 우리의 삶을 넘어선 본질에 대한 이야기 ㅣ 세스 시리즈
제인 로버츠 지음, 매건 김 옮김 / 터닝페이지 / 2025년 1월
평점 :
나라는 존재가 뭐길래 이 세상에 존재하는 걸까.
과연 내가 살아도 되는 것일까.
매순간 나라는 존재에 대한 정체성을 종종 고민하게 된다. 내가 죽으면 이 세상에 정말로 사라지는 것인지, 아님 몸은 죽지만 영혼은 다른 세계로 가서 살아가는 것인지 여러 갈래로 상상해보곤 한다. 지금의 세상은 이전보다 훨씬 살기가 어려워진 상황이라, 더더욱 미래에 대한 암담한 생각에 사로잡히게 되어 많은 사람들이 사후세계나 윤회론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들 궁금하게 된다. 앞으로 내가 언제 죽을지도 모르는 이 세상속에 우리는 나의 존재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며 삶의 가치를 좀 더 다르게 생각해봐야하는지 알아보고자 이 책을 펼쳐본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이 도서는 2008년에 출간된 《육체가 없지만 나는 이 책을 쓴다》의 최신판이며, 1963년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저자가 영적 존재로 불리는 세스와 대화를 통해 알게 된 삶의 죽음의 경계점에서 보여지는 세계에 대한 이야기가 담아진 유사과학 도서다.

삶은 내가 어떤 생각을 하느냐에 따라 미래가 달라진다. 생각이 곧, 사념과 감정으로 인해 환경이 만들어지고, 현실세계와 또다른 세계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내 의지가 어떠냐에 세스라는 것은 새로운 시작을 의미해주는 삶의 연결고리를 의미한다. 몸은 죽어도 영혼은 영원하며, 다른 세계로 간다는 거다. 여기 이 세상에 죽었다고 해도, 영혼은 불변하지 않고, 다른 공간으로 연결이 되는 거라고 결코 죽음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영혼을 불리는 인격적 존재인 세스가 말하는 삶과 죽음, 육체적 본질, 건강, 우주, 윤회론, 시간, 자아정체성, 사후세계,사랑과 고독 등등 과학적으로 증명하기가 어려운 신비로움이 보여지는 다양한 상황들을 세스가 들려주는 삶의 이야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세계 여행해보게 되는 느낌을 전해준다. 이 책을 읽어볼수록 어떠한 상황을 기록된 거지만, 그곳에 삶에 대한 생각에 대해 미처 생각지도 못했던 현실을 맞딱드리도록 일깨워주기도 한다.
종교적인 느낌도 있지만, 죽고 나서 벌어지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심층적으로 다루어지는 인간 세계 이면들을 설파하고 있어서 더더욱 흥미로운 스토리를 집중해보게 된다.
인간이 숨쉬고 사는 세계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윤회설과 비슷하며, 시간은 다차원적으로 흘러가고 있어서 지금 쓰고 있는 시간이 다른 세계에서도 이어져 있다는 경이로운 이야기를 전해준다. 무언가 이야기를 읽을 때마다 아주 먼 이야기이면서도 무언가 바로 옆집에 있는 세계로부터 이어지는 묘한 기묘함이 감돌게 하는 이야기를 접하게 된다.
이 도서를 쉽게 말하자면, 죽고 나서 가게 될 사후세계 입문서라 보면 되겠다. 비록 몸은 이곳에서 숨을 거두어도 다른 세계에 가서 그곳에서 정해진 규율과 법을 다시 배우면서 살아야 한다고 전한다.
교회에서 흔하게 이런 말을 한다.
예수를 믿으면 천국갈 거라는 말이 과연 진실일까.
다음 생애에 가게 될 사후세계를 좋은 의미로만 생각한다면 큰 코 닥치는 일이라는 점을 이 책을 보면 알 수 있다. 어쩌면, 이 책에서 다음 생애 가게 될 그 세계가 어떠한지 미리 알고 대비할 수 있게 만들어진 게 아닌가 싶다.
인간이 기본적으로 가장 잘 느끼는 감정은 공포다. 즉, 죽음을 가장 무서워한다. 그래서 살아가고 싶은 욕망이 더 강한 인간이다. 그러한 점을 보면 죽음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기보다 좀 더 나아가 긍정적으로 삶의 가치와 의미를 생각해보려는 의도를 담아 전해주는 이야기로 보면 되겠다.
모든 생물체는 태어난 것과 동시에 죽음을 반드시 겪게 되는 운명을 지니고 있다. 죽는 건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생물체에겐 가혹한 두려움을 준다. 그걸 거스를 수 없는 거라면 받아들이라는 의미를 전한다. 잔인하지만, 지금 이 순간을 잘 살려고 한다면 죽어서도 삶의 후회가 덜한다는 의미다. 죽음에만 부정적인 생각에 갇힐 시간에 긍정적으로 몸을 움직이며 에너지를 자유롭게 쓰는 삶을 사는 게 비로소 나를 위한 삶이 아니겠는가.
이 책을 읽으면 말도 안되고 글로만 봐선 믿기 어려운 점이 있지만, 본 주제는 지금의 삶을 제대로 살지 않는 현대인들에게 따끔한 삶의 조언을 일러주는 내용으로 전해주는 거다.

요즘 사회는 물고 뜯기 좋은 세상이 되어버린데다, 크고작은 사건으로 인해 언제든 내 목숨을 아깝지 않게 여기게 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당장의 삶이 버겁고, 이대로는 못 살겠다는 이유로, 자살을 택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아마도 어쩌면, 이 책이 다시 출간한 것으로 보면 지금의 현대 사회가 얼마나 썩어 문들어지게 삶의 질이 안 좋아지도록 만들어진 상황인지를 반영된다.
이 책에서도 전한다. 어떤 이유든 간에 부정적인 이유만으로 죽음으로 도피한다고 해서 다음 생이 좋아질 거라는 건 대단한 착각이다. 무작정 내 인생을 버린다는 건, 사후세계에서 불이익이 따른다고 한다. 그러한 점을 생각하면 아무리 힘들어도 내 인생을 재창조하기 위해 삶을 개척해나가려는 의지를 가지려는 게 필요하다고 말한다.
어떤 세계를 가서 살든 삶은 고난의 연속이다. 집에서 마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버겁다는 이유로 가출한다고 해서 절대로 풀리지 않는다. 정리(해결)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죽음도 마찬가지다. 이 상황이 안 풀린다고 무작정 자살을 택한다고 해서, 다음 생애가 나아질 거라는 썩어빠진 망상을 하는 거라면, 과연 옳은 행동인지 생각하기에 좋은 인문서라서 한 번 읽어보는 것이 좋을 거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존재하는모든것은사라지지않는다 #제인로버츠 #터닝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