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 - 뇌과학자가 알려주는 AI 시대 똑똑한 뇌 사용법
모나이 히로무 지음, 안선주 옮김 / 갈매나무 / 2025년 2월
평점 :
[갈매나무에서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어 본 후 작성한 리뷰]
머리가 좋다는 건 뭘까?
과거에는 사람의 머리 좋고 나쁨을
IQ 지수나 암기력으로
판단하던 시대가 있었고,
여전히 높은 IQ는 머리가 좋다는
충분한 근거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AI 시대가 도래한 지금,
단순히 IQ만으로
지능을 평가하는 것이 과연 타당할까?
오늘 리뷰할 책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깊이 탐구하는 책이다.
처음에는 전문 용어가 많아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점차 책에 빠져들어
하이라이트를 하고
밑줄을 긋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이 쉽게 읽히는 이유는
뇌에 대한 이야기가 결국 우리의 생각과
행동과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책은 단순히 학문적으로 뇌를 풀어내지 않는다.
● 세상과 통하는 뇌
● 모험을 즐기는 뇌
● 망각하는 뇌
● 몸과 교감하는 뇌
● 예술을 추구하는 뇌
● 공감하는 뇌
● 뒷정리 잘하는 뇌
이처럼 다양한 관점에서
뇌를 설명하며 흥미롭게 이야기를 전개한다.

특히 모험을 즐기는 뇌 챕터에서는
뇌가 올바르게 작동하려면
'능동적' 경험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단순히 정보만 쌓는 것이 아니라,
직접 경험하고 체험하는 것이
뇌를 활성화시키는 핵심이라는 것이다.
망각하는 뇌에서는
사소한 일을 잊어버리는 것이
오히려 뇌를 제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위로해준다.

'지혜의 주머니 기억'이라는
개념도 기억에 남는다.
이는 개인이 살아오면서
터득한 삶의 지혜를 의미한다.
몸과 교감하는 뇌에서는
근력 운동보다
뇌 훈련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운동 회로를 활성화시키고,
사용하지 않은 신체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시도함으로써
운동이 습관이 된다는 것이다.
결국 우리의 몸도 뇌의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자신에 대한 해상도를 높이는 것'이라는
개념도 매우 인상적이었다.
나의 감정을 먼저 이해해야
타인의 감정을 깊이 공감할 수 있다는
메시지가 마음에 깊이 와 닿는다.
책의 표지에는 열심히 바벨을 드는
뇌의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
저자는 AI 시대를 살아남기 위해
끈기있는 가소성
'뇌 지구력'에 집중해야 하며,
그 핵심은 '별아교세포'에 있다고 말한다.
별아교세포는 뇌의 지구력을 높이고
스트레스와 피로를 풀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책은 뇌 과학에 대한 지식을 넘어,
나 자신을 돌아보게 하고,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
갈매나무 출판사의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는
현대 사회에서 진정한 지능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모든 이들에게 강력히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