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 과학동아 2010.11.15 - 22호
과학동아 편집부 엮음 / 동아사이언스(잡지)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웃기는 과학, 똑똑한 만화! 어린이 과학동아 22호를 만났어요.
이번 실험 부록은 무게중심과 균형을 알아보는 무게연구실입니다.

섭섭박사를 보자마자 아이들은 반가워하며
뜯고... 접고...끼우고... 붙이며
조립하기 시작합니다.

균형 잡는 섭섭박사
섭섭박사를 빨대 끝에 균형을 잡아 올리기.
쉽지 않은지 조심조심 집중하는 모습을...
드뎌 성공!
무게중심은 키가 작을수록 낮고 낮을수록 안정적이어서
키작은 축구선수가 더 안정적인 자세로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다네요.
아치 다리의 비밀은 힘의 분산
아치는 쐐기모양의 돌이나 정육면체의 돌을 여러 개 맞대어 곡선모양으로 쌓아올린 구조.
위에서 누르는 힘이 양 옆의 맞닿는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나뉘어 다리가 더 잘 버틸 수 있다고해요.
조금 엉성하게 만들었는데도 6권도 거뜬하네요.

양팔저울은 특징은 시소와 같지요.
양쪽 무게가 다를때는 무거운 물체쪽을
좀 더 중심에 가깝게 두면 균형을 잡을수 있죠.

트러스는 직선모양의 재료로 삼각형이나 오각형을
연속적으로 이어 만든 구조인데
윗판 아랫판 대각선판들이 누르는 힘을 나눠 받기때문에
버티는 힘이 강해진다고해요.

균형잡는 섭섭박사.아치 다리.양팔 저울.트러스구조를
만들어서 무게중심과 균형에 대해 실험해봤어요.
어린이과학동아 덕분에
앞으로의 과학시간이 즐거워질것같아요.